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46 vote 0 2023.10.27 (11:01:54)

    믿음 : 어떤 사실이나 사람을 믿는 마음. [국어사전]


    국어사전은 믿음을 믿음이라고 써놓았다. 동어반복이다. 어처구니가 없다. 믿는게 믿는거라니 이래서는 국어사전을 믿을 수 없다. 믿음은 의사결정 메커니즘의 상호의존성을 이용한다. 부름 다음에 응답이 아니라 동시에 발생한다. 머리와 꼬리는 동시에 발생한다. 뗄레야 뗄 수가 없다. 믿을 수 있다.


    믿다believe는 by+leave다. 그것은 허락하는leave 것이며 통제권을 버리는 것이다. 약탈혼을 하는 게르만족이 데려온 부인을 믿고 내버려두는 것이 자유liberty, 자유를 주는 것이 사랑love이다. 약자가 강자에게 의지하는 것을 믿음이라고 할 때가 많지만 강자가 약자를 통제하지 않는 것이 믿음이다.


    주인이 하인에게 일을 맡기는 것이 믿음이다. 하인에게 돈을 주고 심부름을 시키면 그대로 도망칠지 모른다. 어떻게 믿을 수 있지? 보험에 들어두면 믿을 수 있다. 안전장치가 있다. 하인이 도망쳐봐야 손실이 더 크다면 믿을 수 있다. 보험은 사전에 보장되어 있다. 믿음은 상호의존이 되는 약속이다.


    신은 인간을 믿지만 인간은 신을 믿지 않는다. 믿는 척 연기한다. 부모는 자식을 믿는다. 자식이 잘못되면 바로잡을 수 있다. 자식이 말을 안 들으면 재산을 상속하지 않는다. 약속이행을 강제하는 시스템을 믿는다. 자식은 부모를 반만 믿는다. 대안이 없으니까 부모에게 의지하면서 믿음이라고 한다.


    신은 인간을 바로잡을 수 있다. 시스템이 있다. 인간은 신을 바로잡을 수 있는가? 국민이 대통령을 바로잡는 수단은 무엇인가? 리스크에 대비된 약속이 시스템이다. 궁극적으로 믿음은 자기 자신을 믿는 것이다. 상대가 잘못해도 자신이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바로잡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믿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860 껍질이 알맹이다 1 김동렬 2020-09-29 2832
5859 먼저 말 걸면 지는 거다. 김동렬 2021-03-01 2832
5858 인간이 퇴행하는 이유 김동렬 2022-02-12 2833
5857 이대남의 퇴행행동 김동렬 2022-03-25 2833
5856 3축짐벌 구조론 김동렬 2020-11-01 2834
5855 운동 김동렬 2022-09-03 2835
5854 사건과 사물 김동렬 2021-10-29 2836
5853 구조론 김동렬 2021-11-18 2838
5852 우주의 방향성 9 김동렬 2021-05-13 2841
5851 1 법칙과 2 법칙 김동렬 2021-09-29 2842
5850 탈 사회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02 2843
5849 상호작용론 1 김동렬 2021-10-18 2843
5848 시간은 없다 김동렬 2022-03-06 2843
5847 량이 결정한다 김동렬 2023-04-04 2843
5846 위안부 문제의 본질 김동렬 2021-02-09 2844
5845 진보는 밸런스의 교체다 김동렬 2022-01-20 2844
5844 통제가능성으로 사유하기 4 김동렬 2020-02-19 2845
5843 예수는 일원론자다 1 김동렬 2020-06-25 2847
5842 사건과 게임 김동렬 2020-11-30 2847
5841 창조보다 구조 김동렬 2021-11-21 2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