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183 vote 0 2023.10.14 (11:53:51)

    "지구와 같은 행성이 더 있을지도 모른다는 그런 기대 자체가 교묘히 포장된 거만함, 내지는 잘난체와 겸손함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것이 아닌가?" [물리학자 S. 웹 - 나무위키]


    내 말이 그 말이다. 겸손은 평판을 높이려는 권력행동인 점에서 오만과 같다. 오타니의 겸손이 강자의 여유라는 사실은 누구나 안다. 중요한 것은 권력의 덫에서 벗어나 객관적 진실을 보는 것이다. 과학이 겸손하면 안 된다. 평판을 높이려고 눈치를 보면 좋지 않다. 


    그런데 지구와 같은 행성은 있다. 백업은 당연히 있다. 다만 의미가 없다. 인간과 교류할 수 없으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당분간 인류는 고독한 존재다. 인정할건 인정하자. 이미 인류는 태양계 주변을 샅샅이 뒤져 봤다. 객관적 사실이 그렇다면 받아들여야 한다.


    추정하자면 우리은하에 10여 종의 외계인과 100여 행성의 후보군이 있으며 그들 사이의 거리는 1천에서 1만 광년이다. 그들과 10만 년 안에 직접 교류할 가능성이 없고 2만 년 안에 통신할 가능성이 없다. 광속은 외계인들이 서로 교류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거리다.


    평범하지 않으면 특별하다. 평범성의 원리는 확실히 부정되었다. 그렇다면 특별하다. 광속이 더 빠르면 문명 간 간섭이 일어난다. 독자적인 문명의 의미가 사라진다. 시뮬레이션 우주론으로 보면 중력이 간섭하여 우주가 축소되면 곤란하다. 원래 설계가 그러하다.


    신에 의한 인위적인 설계가 아니라 입력과 출력을 잇는 메커니즘의 연결을 말하는 것이다. 에너지의 입력은 피드백을 고려하여 작동한다. 작용은 반작용 측을 고려하여 일어난다. 우주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거리로 탄생할 수밖에 없다. 간섭하면 우주는 실패한다. 


    물질 간 간섭이 억제되면 문명 간 간섭도 억제된다. 왜 이 점이 중요한가? 마이너스 원리 때문이다. 구조론은 마이너스다. 수렴이 아니면 확산이다. 수렴은 일정한 조건에서 저절로 일어나므로 확산에만 주력해야 한다. 우주의 기본 원리는 간섭을 막는 마이너스다.


    자궁은 보호장치다. 간섭을 방해한다. 모든 탄생은 간섭을 극복하는 형태로 일어날 수밖에 없다. 물질 간 간섭이 극복되듯이 문명 간 간섭도 극복되는 형태로 시뮬레이션 된다. 우리가 모르는 우주 이전의 지성체가 인위적으로 손을 댔을 수도 있고 우연일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우주는 한 방향으로 작동하며 간섭은 자동이므로 그 한 방향은 불간섭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조절장치가 한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모자라면 늘리고 넘치면 줄이는게 아니라 줄이는 조절만 가능하다. 애초에 간격을 떼어놓지 않으면 안 된다.


[레벨:10]dksnow

2023.10.15 (11:20:15)

교수님 박사님 영감님?
이거 아닌건 아닌것. 한국은 누구 누구님으로 통일해야. 특히 공적 상황에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18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964
2450 구조론의 초대 image 김동렬 2017-07-05 12542
2449 암호화폐의 대항 image 3 김동렬 2018-01-29 12542
2448 방향성의 판단 image 1 김동렬 2017-06-30 12550
2447 행복이 아니라 에너지다. image 김동렬 2017-02-26 12555
2446 비트코인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7-12-12 12556
2445 구조론 다시 읽기 image 김동렬 2017-03-27 12557
2444 김인식 리더십에 주목 김동렬 2006-03-20 12561
2443 서태지-노무현-황우석 김동렬 2005-12-12 12566
2442 노동은 과연 신성한 것인가?(수정) 김동렬 2007-05-28 12568
2441 ( ) 하는 그것이 ( )다. image 김동렬 2017-05-30 12569
2440 당신도 직관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2-16 12571
2439 빠른 길은 직선이다. image 김동렬 2017-04-06 12573
2438 복지 이야기 조금 12 김동렬 2011-01-25 12574
2437 전여옥에서 황우석까지 김동렬 2005-06-05 12578
2436 성공하는 작품의 공식 image 5 김동렬 2012-01-11 12584
2435 이보다 쉬울 수 없다 image 김동렬 2017-01-16 12584
2434 Re..이회창이 된다면 한가지 분명한 것은.. 김동렬 2002-09-27 12585
2433 이길 마음이 있어야 이긴다 image 2 김동렬 2017-12-28 12588
2432 구조론 나머지 부분 김동렬 2007-10-20 12592
2431 이물질이 특이점을 차지하기 image 2 김동렬 2013-10-28 12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