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어제 시사리트윗에 링크한 네옴시티 기사는 10월 4일자 것이다. 지난 기사를 올린 이유는 근래의 석유값 불안 때문이다. 그 기사에 '정신병자가 하나가 인류를 죽인다'는 과격한 제목을 붙인 이유는 불길한 느낌 때문이다. 굥교롭게도 하룻만에 이팔전쟁이 터졌다.


    구글지도 봤는데 이미 107킬로를 긁어놨다. 위성사진이 최근 것은 아닐 텐데 이미 많이 저질러놓은 것이다. 사막에 동계 아시안게임도 유치하고 있다. 미친 짓이 도를 넘었다. 500미터 높이로 양쪽에 170킬로 지으면 롯데월드 4천 개다. 롯데월드에 4조 원 들었다. 

    

    못해도 1경 원 이상 돈이 들어간다. 1,300조 원 가지고 턱도 없다. 지구는 1경 원짜리 약점이 생겼다. 약점을 봤는데 가만있을 사람이 있나? 반드시 그 약점을 찌르고 들어오는 세력은 생겨난다. 일어날 일은 반드시 일어나는 DTD 법칙이다. 머피의 법칙은 작동한다.


    이팔전쟁의 본질은 석유값 올리려는 사우디와 사우디를 협박하는 바이든과 둘 사이를 이간질하려는 이란과 이란에 구조 요청한 푸틴의 복잡한 역학관계다. 본질은 푸틴이 중동에 제2의 전선을 만들어 서방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려는 것이다.


    이런 내막은 어린애도 알겠다. 푸틴은 처음부터 폭탄이었다. 폭탄은 언젠가 터진다. 네타냐후도 폭탄이었다. 네타냐후가 적대적 공생에 의한 정권유지를 위해 일부러 하마스를 방치하는 것은 유명한 이야기다. 정상적인 지도자라면 하마스를 제거하거나 화해한다.


    네타냐후는 하마스 살려놓고 심심하면 한 번씩 두들겨 패서 표를 얻는다. 윤석열이 네타냐후를 따라 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북한을 자극하여 괴뢰 같은 단어를 쓰게 하고 희희낙락하는 것이다. 놀아나는 북한도 문제지만 말이다. 하마스 배후는 사실이지 네타냐후다. 


    1. 미국 .. 석유값 내려라.

    2. 빈살만 .. 석유값 내리면 네옴시티 어쩌고?

    3. 푸틴 .. 미국과 사우디 사이를 벌려놔야 하는데.

    4. 이란 .. 푸틴 형님 말이 내 말이라니깐.

    5. 하마스 .. 한 건 해달라고? 해줘야지. 얘들아. 주문 들어왔다.

    6. 네타냐후 .. 하마스는 귀여운 나의 집권 도우미. 얘들아 사고쳐라. 표가 필요할 때마다 때려주마.


    결론.. 이념타령 테러타령 필요 없다. 문제는 무능. 인류는 힘이 없다. 팔레스타인은 사우디 돈으로 충분히 해결되는 문제다. 해결이 안 되는 것은 미치광이 빈살만이 엉뚱하게 네옴시티짓을 벌여서다. 푸틴과 빈살만 두 미치광이가 인류를 인질로 잡고 하이재킹 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860 귀납에서 연역으로 바꾸기 김동렬 2008-01-10 15972
1859 존재는 저울이다 김동렬 2008-01-08 11554
1858 깨달음을 권하며 김동렬 2008-01-07 12507
1857 권력, 사상, 언어 김동렬 2008-01-03 13240
1856 진리 세계 진보 역사 문명 김동렬 2007-12-31 9489
1855 윤리, 이상, 미학, 도덕, 규범 김동렬 2007-12-29 10395
1854 최홍만 패배의 전략 김동렬 2007-12-28 16516
1853 인간들에게 고함 김동렬 2007-12-27 13098
1852 신, 물질, 실존, 인생, 정신, 깨달음, 가치 김동렬 2007-12-21 10288
1851 왜 철학하는가? 김동렬 2007-12-21 15650
1850 구조론의 세부이론들 김동렬 2007-12-19 11069
1849 인간 일상 의미 김동렬 2007-12-18 10538
1848 소유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2-12 16186
1847 존재, 생명, 자연 김동렬 2007-12-10 11464
1846 1초만에 알아채기 김동렬 2007-12-06 13018
1845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50가지 철학개념 김동렬 2007-11-28 11938
1844 양자구조론 김동렬 2007-11-17 7895
1843 만남과 헤어짐 김동렬 2007-11-06 17102
1842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 김동렬 2007-11-05 15426
1841 구조론의 용도 김동렬 2007-11-01 9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