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4455 vote 0 2023.09.26 (01:09:08)

https://www.wtamu.edu/~cbaird/sq/2022/08/05/why-is-gravity-not-a-real-force/


이하 챗지피티 번역


"중력은 왜 진짜 힘이 아닌가?

중력의 효과는 시공간의 곡률로 인한 것이다.

중력은 실제로 진짜 힘이지만, 전통적인 의미에서는 아니다. 다시 말해, 중력은 두 물체 사이의 직접적이고 고전적인 거리 작용 힘이 아니다. 그러나 더 넓은 의미에서, 중력은 두 질량 사이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때문에 실제로 힘이다. 중력의 효과는 근본적으로 시공간의 왜곡과 왜곡된 시공간을 통한 물체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힘이 작용된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중력을 "발생 힘"이라고 부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즉, 직접적인 힘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은 더 근본적인 효과(시공간의 왜곡)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중력을 실제 힘이라고 부르는 것은 매우 합리적이다.


흥미롭게도, 모든 기본 힘들은 실제로 발생 힘이며 고전적인 거리 작용 힘이 아니다. 중력을 실제 힘이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모든 기본 힘들을 실제 힘이 아니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모두 발생 힘으로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예를 들어, 두 전자는 전자기력을 통해 서로를 밀어낸다. 그러나 한 전자가 다른 전자에게 직접적이고 직접적인 전자기 힘을 행사하는 것은 아니다. 더 근본적인 설명은 첫 번째 전자가 주변 공간에 양자 전자기장을 만들고, 다른 전자가 이 전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면서 움직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두 번째 전자가 첫 번째 전자로부터 힘을 받은 것처럼 보인다. 근본적인 수준에서 거리 작용 힘은 없다. 실제로는 특정 물체가 특정 필드를 만들고/또는 왜곡하고 다른 물체가 이러한 필드와 상호 작용하면서 움직이는 것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중력, 전자기 등을 "발생 힘"이라고 부르는 것조차도 사람들이 거리 작용 힘을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힘"이라는 단어를 완전히 피하고 "상호 작용"이라는 이름을 선호한다. 예를 들어, 한 전자가 다른 전자에게 전자기 힘을 행사한다고 말하는 대신 (이것은 전자기를 발생 힘으로 생각한다면 말하는 것이 완전히 합리적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전자가 전자기 상호 작용에 참여한다고 선호하는 것이다."


#


깃발이 흔들리는 게 아니라 바람이 부는 겁니다. 니 마음이 흔들리는 지 나는 잘 모르겠고.

물질에 의해 자기장이 생성되는 게 아니라, 자기장이 원래 있는데 특정 물질이 반응하는 겁니다.

요새는 안 그렇지만 스님들은 섹시한 여자를 봐도 흔들림이 없더랬죠.

어떤 것이 있다고 하여 모두 반응하는 것은 아니란 말입니다.


중력의 효과는 시공간의 곡률로 인한 것이라는데, 말을 드럽게 헷갈리게 하죠.

대다수 인간이 인식론을 쓰는데 존재론으로 설명해야 하니 아인슈타인도 골치가 아픈 거.

상대적인 언어로 절대자를 표현해야 하는 아이러니

신도를 가지고 예수를 설명하면 웃긴 거 아님니까. 광훈이를 보고 예수를 떠올리면 끔찍한 거죠.

예수가 빤쓰입고 개거품 물 리도 없고 말야.


사람들은 중력을 두고 원격힘이 작용하는 걸로 생각하는데,

텔레파시도 아니고 원격이 어딨습니까?

두 물체 사이를 (지렛대의) 막대기가 매개하나 시공간이 매개하나 큰 차이가 없는 겁니다.

사실 막대기도 그냥은 안 되고 받침점이 있어야 매개를 하는 거죠.

즉 시공간은 두 물체 사이에 발생하는 중력이라는 현상의 받침점이 되는 겁니다.

그러므로 뉴턴한테야 중력이 힘이 아니겠지만

아인슈타인한테는 중력이 힘이 맞는 거.


발생힘? 원격 작용? 개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17
2127 태양열을 이용한 스털링 엔진 image 1 김동렬 2013-04-03 11194
2126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092
2125 한국 과학 교육의 교착 지점 3 눈내리는 마을 2009-02-06 11009
2124 고은이 시인일까? image 26 김동렬 2013-11-19 10987
2123 김진태의 눈 image 2 김동렬 2014-12-06 10890
2122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788
2121 사람이 되고 싶은 난초 image 4 김동렬 2011-11-18 10640
2120 엑소더스의 진실 image 14 김동렬 2014-12-29 10597
2119 고백을 받으면 싫어지는 이유 1 김동렬 2013-12-15 10515
2118 유전적 성적 이끌림 4 김동렬 2013-10-01 10511
2117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01
2116 왜 추상이어야 하는가? image 5 김동렬 2013-11-23 10381
2115 적정기술의 허상 image 2 김동렬 2014-06-30 10357
2114 석굴암의 실패 image 5 김동렬 2013-01-20 10323
2113 경쟁에 반대한다 1편: 경쟁은 무의식이다 image 6 오세 2011-03-23 10242
2112 동양의 음양사상과 서양의 논리학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6-29 10206
2111 성범죄의 원인 image 17 김동렬 2013-12-26 10097
2110 김동렬님..이 사이트의 글 좀 읽어주십시요. 1 날다 2005-12-19 10090
2109 직장생활의 지랄성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7-02 9943
2108 타원궤도의 이유 15 챠우 2016-01-01 9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