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99 vote 0 2023.09.20 (14:16:57)

    사슴이 죽어 있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 사슴은 죽은 사슴이야. 모든 사람이 동의했다. '암 그렇고 말고. 그 사슴은 죽은 사슴이 맞아.' 그들은 만족해서 가던 길을 갔다. 또 한 무리의 사람들이 찾아왔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 사슴이 죽은 이유는 총에 맞았기 때문이야.' 모든 사람이 동의했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는 법. 원인은 총에 맞은 것이고 결과는 사슴이 죽은 것이지. 수수께끼는 모두 풀렸어.' 그들은 만족해서 가던 길을 갔다. 아무도 사슴을 죽인 총알이 어디서 날아왔는지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이상하지 않은가? 이상함을 느낀 사람이라면 다음 페이지로 전진해 보자. 가야 할 길은 아직도 멀다. 그래서 우리는 편안할 수 있다.


    천동설이 이상하다는 점은 누구나 직관적으로 느낀다. 왜냐하면 이상하기 때문이다. 불편함이 있다. 지동설로 바뀌고 편안해졌다. 지동설은 인류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아직 주문한 요리가 덜 나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뭔가 부족해 보이지만 주방에서 조리하는 소리가 들린다. 기다릴 수 있다.


    다시 한 번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이상하지 않은가? 천동설이든 지동설이든 보이는 것은 관측자 입장이다. 반대편 연출자 입장은? 스크린 반대편에 필름이 있어야 한다. 지동설의 충격은 스크린에 펼쳐진 이미지가 실물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그렇다면 실물은 어디에 있는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61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172
» 수수께끼 김동렬 2023-09-20 2599
687 한동훈의 윤석열 사냥? 김동렬 2022-05-06 2600
686 과학은 간이 크다 김동렬 2022-09-18 2595
685 원자론에서 구조론으로 1 김동렬 2021-02-03 2595
684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것 김동렬 2022-02-18 2593
683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1-06-27 2593
682 철학 변화 간섭 기능 권력 김동렬 2022-10-27 2592
681 민주당의 원죄 김동렬 2022-04-05 2589
680 사유의 법칙들 김동렬 2021-12-09 2589
679 도구가 있어야 한다. 2 김동렬 2020-08-27 2589
678 밸런스의 힘 김동렬 2023-07-09 2587
677 인간의 실패 김동렬 2023-01-01 2587
676 원론과 공자 합리주의 김동렬 2022-12-26 2587
675 인류의 진화 1 김동렬 2022-10-20 2587
674 협살에 걸렸다 김동렬 2023-09-11 2585
673 호남 가서 약자혐오 이준석 1 김동렬 2024-02-01 2584
672 오은영 원리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3-07-21 2584
671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2-11-22 2582
670 창발주의 등판 1 김동렬 2020-08-18 2582
669 양향자의 배신 1 김동렬 2022-04-27 2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