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82 vote 0 2023.09.20 (14:16:57)

    사슴이 죽어 있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 사슴은 죽은 사슴이야. 모든 사람이 동의했다. '암 그렇고 말고. 그 사슴은 죽은 사슴이 맞아.' 그들은 만족해서 가던 길을 갔다. 또 한 무리의 사람들이 찾아왔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 사슴이 죽은 이유는 총에 맞았기 때문이야.' 모든 사람이 동의했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는 법. 원인은 총에 맞은 것이고 결과는 사슴이 죽은 것이지. 수수께끼는 모두 풀렸어.' 그들은 만족해서 가던 길을 갔다. 아무도 사슴을 죽인 총알이 어디서 날아왔는지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이상하지 않은가? 이상함을 느낀 사람이라면 다음 페이지로 전진해 보자. 가야 할 길은 아직도 멀다. 그래서 우리는 편안할 수 있다.


    천동설이 이상하다는 점은 누구나 직관적으로 느낀다. 왜냐하면 이상하기 때문이다. 불편함이 있다. 지동설로 바뀌고 편안해졌다. 지동설은 인류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아직 주문한 요리가 덜 나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뭔가 부족해 보이지만 주방에서 조리하는 소리가 들린다. 기다릴 수 있다.


    다시 한 번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이상하지 않은가? 천동설이든 지동설이든 보이는 것은 관측자 입장이다. 반대편 연출자 입장은? 스크린 반대편에 필름이 있어야 한다. 지동설의 충격은 스크린에 펼쳐진 이미지가 실물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그렇다면 실물은 어디에 있는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55
761 구조론의 길 김동렬 2021-05-02 2584
760 구조론은 진보다 2 김동렬 2020-10-19 2584
759 엔트로피 총정리 김동렬 2021-12-16 2582
758 담로와 계림 김동렬 2021-02-20 2581
757 사색문제와 차원 김동렬 2020-12-09 2579
756 사건과 전략 1 김동렬 2020-12-01 2579
755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21-11-24 2578
754 권력서열 1위 천공이 LK99 사기 배후? 김동렬 2023-08-03 2574
753 사건의 통제 1 김동렬 2020-03-18 2574
752 돈키호테 윤석열 1 김동렬 2022-06-29 2572
751 지능은 권력이다 2 김동렬 2022-07-16 2571
750 연결과 단절 1 김동렬 2022-03-20 2571
749 김훈 장미란 노사연 김종민 김동렬 2023-08-28 2570
748 존재론의 태도 1 김동렬 2020-03-15 2569
747 지능은 질문이다 1 김동렬 2022-07-17 2567
746 권력의 자유주의와 보상의 사회주의 1 김동렬 2020-08-09 2567
745 한국은 희망이 없다 김동렬 2023-03-19 2563
744 핀란드인의 행복 1 김동렬 2022-04-05 2563
743 우주가 5인 이유 1 김동렬 2020-04-25 2563
742 프레임을 걷어라 김동렬 2022-09-18 2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