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33 vote 0 2023.09.15 (12:27:05)

    돌멩이 두 개가 충돌했다면 그 에너지는 어디로 갔을까? 돌은 깨져서 가루가 된다. 에너지는 가루로 변했다고 볼 수 있다. 기름 두 통이 충돌하면 어떨까? 그것이 유압장치다. 에너지는 깨지지 않는다. 기름은 이미 깨져 있기 때문이다.


    유체의 에너지는 유압 형태로 보존된다. 여기서 없던 것이 생겨났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압력이다. 유체는 강체에 없는 것이 있다. 하나가 더 있으므로 이긴다. 유체가 강체를 이긴다. 단 유체는 그릇에 담겨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다.  


    강체가 여럿이 모이면 유체가 된다. 사람 한 명의 행동과 여러 사람이 모인 집단의 행동은 다르다. 집단은 스트레스 형태로 압력이 작용한다. 그것이 권력이다. 인간의 행동은 개인의 동기가 아니라 상당부분 집단의 무의식이 결정한다.


    51 대 49다. 강체가 유체로 변하는 임계다. 세 개의 극이 있다. 강체의 작은 수, 유체의 큰 수, 둘이 바뀌는 임계다. 강체가 유체로 바뀌면 이후 가는 길이 완전히 달라진다. 인간의 내면에 유체가 만들어지면 그의 삶은 극적으로 바뀐다.


    유체가 되려면 동질성을 획득하여 내부가 균일해야 한다. 그릇에 가두고 권력으로 압박하여 강제로 동질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그것은 일회용이다. 다른 그릇에 담아 다른 임무를 주면 본래로 돌아간다. 스스로 유체가 될 때 완전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64 레오 14세와 기독교 new 1 김동렬 2025-05-09 416
7363 여의도 문법 몰입교육 new 김동렬 2025-05-09 412
7362 김문수와 한덕수의 배신자 콤플렉스 update 1 김동렬 2025-05-08 1083
7361 이재명이 이겼다 김동렬 2025-05-07 1330
7360 한덕수로 단일화 하려는 이유 김동렬 2025-05-07 1266
7359 구조본능 김동렬 2025-05-06 531
7358 이재명의 큰 그림대로 1 김동렬 2025-05-05 1637
7357 할 말을 다 했다 9 김동렬 2025-05-05 1276
7356 구조론의 세계 김동렬 2025-05-05 395
7355 유체원리 1 김동렬 2025-05-04 497
7354 구조론의 도전 김동렬 2025-05-04 612
7353 모형적 사고 김동렬 2025-05-03 697
7352 존재 변화 생각 김동렬 2025-05-02 665
7351 피값 총량 보존의 법칙 image 2 김동렬 2025-05-01 1656
7350 존재의 문법 김동렬 2025-05-01 760
7349 권오을, 조희대, 굥계리, 한덕수 1 김동렬 2025-04-30 1478
7348 이기는 법 김동렬 2025-04-30 932
7347 이재명 세대와 조선일보 세대 1 김동렬 2025-04-29 1433
7346 이재명의 인생승부 1 김동렬 2025-04-28 1712
7345 공을 던지는 방법 image 김동렬 2025-04-27 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