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97 vote 0 2023.09.06 (18:56:09)

    보이는 것 말고 하나가 더 있다. 그것은 말로 설명할 수 없으므로 깨달아야 한다.


    있는 것은 눈으로 보는 것이고 낳는 것은 깨닫는 것이다. 낳으면 하나가 추가된다.


    원소는 눈으로 보는 것이고 집합은 깨닫는 것이다. 집합이 원소의 합보다 크다. 하나가 더 있기 때문이다.


    사물은 눈으로 보는 것이고 사건은 깨닫는 것이다. 사건은 사물의 합보다 크다. 보이는 것 외에 하나가 더 있다.


    전달은 눈으로 보는 것이고 결정은 깨닫는 것이다. 결정이 전달의 합보다 크다. 보이는 것 외에 하나가 더 있다.


    이기는 힘은 하나가 더 있다. 자발성이 있다. 에너지는 하나가 더 있다. 방향성이 있다. 메커니즘은 하나가 더 있다. 연결되어 있다.


    자연의 기세, 생명의 호흡, 언어의 의미, 시장의 이윤, 사람의 사랑, 동료의 의리, 사회의 권력, 산업의 혁신, 생각의 아이디어는 하나가 더 있다. 남이 갖지 못한 하나를 더 가져야 한다. 그래야 이길 수 있다.


    그것은 관통하는 것이다. 소설의 주제, 인물의 캐릭터, 영화의 서스펜스, 음악의 하모니, 그림의 구도는 관통한다. 시야를 관통하는 소실점을 깨달아야 한다. 건물의 뼈대는 관통하며 연결한다.


    그것은 발사된다. 화살처럼 일직선으로 날아간다. 일방향성을 가지며 결코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것을 격발하는 장치가 있다. 메커니즘이 있다. 엔진이 있다. 동력원이 있다.


    그것은 유체의 성질이다. 그것에 의해 세상은 널리 연결된다. 부분을 연결한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만유의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지 않으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06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808
450 새로운 사유 김동렬 2023-03-14 2281
449 무당의 어원 김동렬 2023-01-13 2280
448 데카르트의 실패 김동렬 2022-11-21 2280
447 권력의 탄생 김동렬 2022-07-01 2278
446 생각을 잘하자 김동렬 2022-05-01 2276
445 정치의 본질 김동렬 2023-12-12 2275
444 굥락, 굥의 추락 김동렬 2022-07-06 2273
443 다이몬의 소리 김동렬 2023-01-23 2269
442 구조와 원자 김동렬 2022-09-24 2263
441 민희진과 배신자들의 말로 김동렬 2024-06-02 2256
440 국어사전 문제 김동렬 2023-02-10 2253
439 옛날 영화 개그맨 image 2 김동렬 2023-08-30 2252
438 다시 쓰는 구조론 김동렬 2023-03-14 2252
437 굥의 외교 김동렬 2022-07-06 2250
436 입자냐 파동이냐 김동렬 2022-02-16 2250
435 과학과 주술의 차이 김동렬 2022-05-17 2247
434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넘어 김동렬 2022-02-18 2247
433 조중동의 윤석열 관리 김동렬 2023-07-23 2246
432 감시자 문제 김동렬 2023-01-12 2244
431 축구와 구조론 김동렬 2022-11-27 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