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79 vote 0 2023.07.31 (18:05:16)

      
    하나가 더 있다  


    보이는 것 말고 하나가 더 있다.
    그것은 말로 설명할 수 없으므로 깨달아야 한다.   



   낳음을 깨달음 


    있는 것은 보고 낳는 것은 깨닫는다
    낳는 것은 있는 것에 없는 하나가 더 있다.   


    원소는 보는 것이고 집합은 깨닫는 것이다.
    사물은 보는 것이고 사건은 깨닫는 것이다.
    전달은 보는 것이고 결정은 깨닫는 것이다.   

    부분을 연결한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만유의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지 않으면 안 된다.



    의사결정 단위  


   1. 구조의 다섯은 복제의 절차다.

   2. 세상은 복제된 것이며 낳음과 자람이 있다.   
   3. 낳음은 속일 수 없으므로 원리에 의지할 수 있다.   
   4. 오염은 자라는 과정에 생기므로 진리는 믿을 수 있다.   
   5. 복제 조건은 유체, 자발성, 숨은 변수, 전략, 이기는 힘이다.   


   인간의 개소리  

    1. 인간은 생각하지 않는다.   
    2. 자극과 반응을 집단에 떠넘긴다  
    3. 일어날 수 있는 일은 결국 일어난다.   
    4. 지어낼 수 있는 모든 개소리는 지어낸다.   
    5. 심리학으로 시작하여 물리학으로 끝난다. 



    힘의 메커니즘  


    1. 인간은 힘을 원한다.
    2. 힘은 밸런스를 복원한다.
    3. 유는 격발하고 강은 전달한다.
    4. 가두어지면 마이너스만 가능하다.
    5. 하나가 전체를 대표하는 성질이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04 다르마를 따르라 김동렬 2025-03-24 2861
7303 구조완성 김동렬 2025-03-23 2705
7302 마음의 문제와 해결 1 김동렬 2025-03-23 3975
7301 글쓰기에 대한 생각 1 김동렬 2025-03-22 2921
7300 윤석열과 민희진 김동렬 2025-03-22 3032
7299 칼럼 쓰는 요령 2 김동렬 2025-03-20 3245
7298 김갑수의 경우 김동렬 2025-03-19 2769
7297 구조탄생 김동렬 2025-03-18 3760
7296 굥의 전쟁 2 김동렬 2025-03-18 2854
7295 인생삼단 김동렬 2025-03-17 3451
7294 지식원형 김동렬 2025-03-17 4039
7293 인간폭로 2 김동렬 2025-03-16 3478
7292 정규재도 사람인척 하지만 멀었다 1 김동렬 2025-03-16 3133
7291 미키 17, 나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25-03-14 3437
7290 역설의 역설 김동렬 2025-03-13 3695
7289 세상물정 김동렬 2025-03-12 3848
7288 김어준과 정청래 김동렬 2025-03-11 3154
7287 왜 천재는 삽질할까? 김동렬 2025-03-11 3003
7286 태산같이 의연하게 김동렬 2025-03-11 2838
7285 기능주의냐 계몽주의냐 김동렬 2025-03-10 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