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https://namu.wiki/w/%EB%AC%B4%EB%9F%89%ED%8C%90%20%EA%B5%AC%EC%A1%B0


펀칭 현상은 바닥을 받치는 기둥이 바닥을 뚫는 것을 말합니다. 

사실 무량판구조에도 보에 해당하는 구조물이 있습니다. 

문제는 보와 기둥이 밸런스가 맞지 않다는 것

기둥보구조라면 보와 기둥이 밸런스를 이루어 한덩어리가 되지만

무량판은 큰 보가 아니라 매우 작은 보를 촘촘히 세운 셈이라

이는 사실상 보는 없고 바닥의 두께만 두꺼워진 것이고,

그 결과 기둥과 바닥 사이에 질적 불균일이 발생합니다.

어떤 두 재료를 본드로 붙여보면 

나중에 어디서 부러질 지 알게 되는데,

보통은 본드로 붙인 곳이 부러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두께가 불균일 한 곳이 부러집니다.

이는 다양한 사람이 모였을 때 어디서 균열이 일어날지는

질적 균일도를 보면 바로 알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물이 가만히 서있으면 별 문제가 안 되겠지만

모든 건축물은 실제로 매우 많은 진동에 의해 흔들리고

건축물이 동적상태가 되면

전단부에 가해지는 순간 힘은 10배로 상승하고

그 힘은 딱 무량판의 기둥과 바닥의 사이에 집중됩니다.

심지어 증폭되죠. 그러면 뚫리는 거.


보의 역할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게 중요한데,

단순히 바닥을 두껍게 만드는 게 아닙니다.

바닥과 기둥만 있다면 2차원인데

보가 둘의 사이를 매개하면 3차원이 됩니다. 

거꾸로 차원이 소거되어 1차원이 된다고 말할 수도 있죠. 한덩어리니깐.

이게 젤 중요.

실제로 철제 건축물의 경우에도 

기둥과 보 사이에

대각선으로 가새를 하나 더 두는데

그게 보의 역할과 비슷한 겁니다.

트러스 구조의 핵심이기도 하죠. 

이런 구조를 사용한 에펠탑과 자유의 여신상이 같은 공간의 공기보다 가볍다고.

하여간 중간에 매개체가 있어야 외부의 동적 하중에 대해 내부가 한덩어리가 될 수 있다는 말이에용.

가새나 보가 없으면 연결부가 관절이 되어 취약해집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2986380&memberNo=38387794


같은 관점으로 현대차의 디자인을 보자면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한 덩어리여야 하는데

현대차는 삼각형을 쓰거나 곡선과 직선을 섞어 써서

끊어짐을 발생시킵니다.

즉, 한 덩어리로 보이지 않게 되어

보는 사람이 해당 부분을 관절로 인식합니다.

근데 실제로는 관절이 아니므로 매우 불쾌해지는 거.

자동차에서 관절이어도 되는 부분은 문짝과 바퀴뿐입니다.

한 때는 뒷바퀴를 옆에서 덮는 디자인이 유행한 적이 있었는데

곧 없어진 게, 기능적이거나 정비적인 문제라기 보다는

디자인적 문제 때문이라고 봅니다.

보는 사람이 불안한 거.


저도 한때 건축을 설계했지만, 

한동안은 이 구조가 문제된다는 걸 인식하지 못 했는데

이유는 이 구조를 만든 전문가들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걔네들이 바보가 아닌데 허투루 만들었을까.

높은 곳에서 계란을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도록 하는 대회에 참여하는 어린이라면

한눈에 쉽게 알 수 있는 걸,

오히려 전문가 들이 책에 적힌 전문 지식에 매몰된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638
2117 직장생활의 지랄성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7-02 10009
2116 스타벅스는 커피를 팔지 않는다 image 3 냥모 2013-02-11 9990
2115 삼국지의 비애 image 3 김동렬 2014-10-02 9947
2114 직업이란 무엇인가 - 허무한 스펙 쌓기에 빠지지 마시라 2 ░담 2010-08-27 9903
2113 남북전쟁이 일어난 이유 image 4 김동렬 2013-03-28 9865
2112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image 12 김동렬 2013-11-24 9863
2111 후성유전학: 유전자가 변화한다고라? 2 오세 2009-12-07 9817
2110 질문 - 마찰열에 의해 불이 붙는 이유는? 10 김동렬 2013-01-27 9798
2109 타짜 아니면 호구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16 9745
2108 아랍어는 왜 거꾸로 쓸까? image 김동렬 2016-04-21 9682
2107 이중구속, 엄마의 의도는? 22 김동렬 2013-09-08 9670
2106 돈과 시간의 방정식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3-12 9578
2105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565
2104 카스트 제도 비극의 원인은? 22 김동렬 2013-08-04 9560
2103 중력에 대한 새로운 이론 image 7 김동렬 2010-07-14 9560
2102 의견을 구하오. image 52 김동렬 2013-02-03 9451
2101 화내는 습관 고쳐질까? 24 김동렬 2013-10-30 9441
2100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송파노을 2006-03-01 9399
2099 굿을 어떻게 이해할수 있을까요? 1 프로메테우스 2006-03-19 9372
2098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강도 2006-05-17 9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