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https://namu.wiki/w/%EB%AC%B4%EB%9F%89%ED%8C%90%20%EA%B5%AC%EC%A1%B0


펀칭 현상은 바닥을 받치는 기둥이 바닥을 뚫는 것을 말합니다. 

사실 무량판구조에도 보에 해당하는 구조물이 있습니다. 

문제는 보와 기둥이 밸런스가 맞지 않다는 것

기둥보구조라면 보와 기둥이 밸런스를 이루어 한덩어리가 되지만

무량판은 큰 보가 아니라 매우 작은 보를 촘촘히 세운 셈이라

이는 사실상 보는 없고 바닥의 두께만 두꺼워진 것이고,

그 결과 기둥과 바닥 사이에 질적 불균일이 발생합니다.

어떤 두 재료를 본드로 붙여보면 

나중에 어디서 부러질 지 알게 되는데,

보통은 본드로 붙인 곳이 부러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두께가 불균일 한 곳이 부러집니다.

이는 다양한 사람이 모였을 때 어디서 균열이 일어날지는

질적 균일도를 보면 바로 알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물이 가만히 서있으면 별 문제가 안 되겠지만

모든 건축물은 실제로 매우 많은 진동에 의해 흔들리고

건축물이 동적상태가 되면

전단부에 가해지는 순간 힘은 10배로 상승하고

그 힘은 딱 무량판의 기둥과 바닥의 사이에 집중됩니다.

심지어 증폭되죠. 그러면 뚫리는 거.


보의 역할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게 중요한데,

단순히 바닥을 두껍게 만드는 게 아닙니다.

바닥과 기둥만 있다면 2차원인데

보가 둘의 사이를 매개하면 3차원이 됩니다. 

거꾸로 차원이 소거되어 1차원이 된다고 말할 수도 있죠. 한덩어리니깐.

이게 젤 중요.

실제로 철제 건축물의 경우에도 

기둥과 보 사이에

대각선으로 가새를 하나 더 두는데

그게 보의 역할과 비슷한 겁니다.

트러스 구조의 핵심이기도 하죠. 

이런 구조를 사용한 에펠탑과 자유의 여신상이 같은 공간의 공기보다 가볍다고.

하여간 중간에 매개체가 있어야 외부의 동적 하중에 대해 내부가 한덩어리가 될 수 있다는 말이에용.

가새나 보가 없으면 연결부가 관절이 되어 취약해집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2986380&memberNo=38387794


같은 관점으로 현대차의 디자인을 보자면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한 덩어리여야 하는데

현대차는 삼각형을 쓰거나 곡선과 직선을 섞어 써서

끊어짐을 발생시킵니다.

즉, 한 덩어리로 보이지 않게 되어

보는 사람이 해당 부분을 관절로 인식합니다.

근데 실제로는 관절이 아니므로 매우 불쾌해지는 거.

자동차에서 관절이어도 되는 부분은 문짝과 바퀴뿐입니다.

한 때는 뒷바퀴를 옆에서 덮는 디자인이 유행한 적이 있었는데

곧 없어진 게, 기능적이거나 정비적인 문제라기 보다는

디자인적 문제 때문이라고 봅니다.

보는 사람이 불안한 거.


저도 한때 건축을 설계했지만, 

한동안은 이 구조가 문제된다는 걸 인식하지 못 했는데

이유는 이 구조를 만든 전문가들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걔네들이 바보가 아닌데 허투루 만들었을까.

높은 곳에서 계란을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도록 하는 대회에 참여하는 어린이라면

한눈에 쉽게 알 수 있는 걸,

오히려 전문가 들이 책에 적힌 전문 지식에 매몰된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727
615 바깥으로 난 창을 열어라. 1 systema 2019-04-05 1578
614 수학의 기원 2 - pi image 눈마 2019-04-11 1780
613 생명로드 38 - The Second Schedule (2019 July~ 2020 Aug) image 수원나그네 2019-04-12 1458
612 트레일러 파크 보이즈 image 1 김동렬 2019-04-12 5780
611 우리는 모두 여행자다 [제민] 4 ahmoo 2019-04-18 1773
610 생명로드 39 - 2013년에 뿌린 씨앗 그리고 일본전문가 강연회 image 수원나그네 2019-04-19 1418
609 조경에 좋은 나무 image 2 김동렬 2019-04-23 4541
608 포지션의 세계 1 systema 2019-04-25 1937
607 좋은 작품의 조건. systema 2019-05-04 1886
606 아무님 사회주택 토크쇼 수원나그네 2019-05-09 1968
605 패턴과 모순. 2 systema 2019-05-13 1935
604 생명로드40- ‘지구생명헌장’을 전하러 가는 ‘동방박사’ [가톨릭평론] 제20호 수원나그네 2019-05-15 1887
603 AI 시대의 대학강의/시험에 대한 새로운 실험 1 수원나그네 2019-05-20 2172
602 생명로드41- 일본 전문가 2인의 인터뷰 image 수원나그네 2019-05-27 1640
601 방향전환의 문제 systema 2019-06-02 1523
600 한국에서 영국이 멀까, 호주가 멀까? image 1 김동렬 2019-06-03 2742
599 영문번역 해주실 분을 찾습니다. 3 수원나그네 2019-06-03 2288
598 멋진 번역 - Transforming Han River’s Tail into a Center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6-06 2107
597 독립운동세력이 복권해야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6-07 1882
596 사회주택과 중간권력의 창출[제민] 2 ahmoo 2019-06-10 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