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416 vote 0 2023.07.23 (21:33:49)

    첫 단추를 잘못 꿰면 계속 잘못되고 만다. 속수무책이다. 그럴 때는 차라리 아무 말도 안 하는 것이 낫다. 뭐라고 말해봤자 오히려 역효과만 난다. 다들 아는 것이다. 비뚤어진 아이를 상대하는 방법을.


    강적이 있다. 무대뽀가 있다. 하지 마라고 하면 어깃장 놓는다고 더 한다. 상대를 이겨먹을 생각을 가진 자는 단번에 제압하지 못하면 차라리 침묵하는게 맞다. 단매에 쳐죽이지 못하면 도망쳐야 한다. 


    조중동은 윤석열 관리를 진작에 포기했다. 그런데 요 며칠 사이에 분위기가 달라졌다. 심지어 국힘당의 충견 데일리안까지. 갑자기 데드라인을 강조하고 있다? 윤씨가 레드라인은 진작에 넘었는데? 


    그때는 뭘 하고 있다가 이제 와서 뒷북이야? 경고할 타이밍은 지났다. 사실이지 조중동은 윤석열 버렸다. 다들 알고 있다. 비뚤어진 아이는 말릴수록 비뚤어진다는 사실을. 아뿔싸! 강적을 만나버린 거.


    용수철의 탄력성을 죽여놓지 않으면 바로잡을 수 없다. 휘어진 철사는 바로잡을게 아니라 더 휘어놔야 한다. 윤석열은 더 망하게 만들어야 한다. 윤석열이 더 망해야 나중에라도 국힘당이 바로선다. 


    그것을 잘 아는 조중동이 왜 위기를 경고하는 것일까? 그래봤자 더 망하는데? 차라리 가만있는게 돕는거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렇다. 알리바이 만들기다. 윤석열 패망 이후에 대비하는 거다. 


    '거 봐라. 그때 내가 경고했지? 이렇게 가면 망한다고 하지 않았나? 내 말 안 듣더니 꼴좋다.' 나중에 이 말 하려고 사전 포석을 둔다. 조중동은 윤을 버렸고 국힘당 포기했고 그 이후에 대비하고 있다. 

    

    ### 


    백재권 직업 사기꾼을 사기꾼이라고 말하는 언론사가 하나도 없다. 왜 사기꾼을 사기꾼이라고 말하지 못하나? 언론사가 사기꾼에게 전문가, 권위자, 교수 타이틀을 붙여주는게 말이 되나? 빌어먹을.


    방사능 오염수는 과학타령 오지게 하면서 과학을 원천부정하는 사기꾼에게 왜 이리 관대한가? 방사능 오염수도 풍수지리로 해결하시지? 21세기에 종교, 주술, 무속, 사주, 관상, 풍수가 웬말인가? 


    선진국으로 올라서려면 정리할건 정리하고 넘어가자. 사주, 궁합 이런 걸로 박사 학위 나온다는게 말이 되냐? 성형수술한 얼굴이 공작 관상? 악어는 뭐고 치와와는 또 뭐야? 개코원숭이는 왜 빼냐? 


    첫 단추를 잘못 꿴 것이다. 625 때 의사 부족으로 한의사를 인정한 거. 다른 나라에 없는 것은 하지 말자. 서울대 관상학과, 카이스트 유체이탈학과, 연세대 환빠학과, 고려대 초능력학과는 왜 없냐?


    부끄러운 줄 알아야 인간이지 참.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04 다르마를 따르라 김동렬 2025-03-24 2862
7303 구조완성 김동렬 2025-03-23 2709
7302 마음의 문제와 해결 1 김동렬 2025-03-23 3976
7301 글쓰기에 대한 생각 1 김동렬 2025-03-22 2921
7300 윤석열과 민희진 김동렬 2025-03-22 3032
7299 칼럼 쓰는 요령 2 김동렬 2025-03-20 3245
7298 김갑수의 경우 김동렬 2025-03-19 2769
7297 구조탄생 김동렬 2025-03-18 3763
7296 굥의 전쟁 2 김동렬 2025-03-18 2854
7295 인생삼단 김동렬 2025-03-17 3451
7294 지식원형 김동렬 2025-03-17 4041
7293 인간폭로 2 김동렬 2025-03-16 3479
7292 정규재도 사람인척 하지만 멀었다 1 김동렬 2025-03-16 3133
7291 미키 17, 나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25-03-14 3437
7290 역설의 역설 김동렬 2025-03-13 3696
7289 세상물정 김동렬 2025-03-12 3852
7288 김어준과 정청래 김동렬 2025-03-11 3154
7287 왜 천재는 삽질할까? 김동렬 2025-03-11 3003
7286 태산같이 의연하게 김동렬 2025-03-11 2839
7285 기능주의냐 계몽주의냐 김동렬 2025-03-10 3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