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408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08 토벌군은 의연하게 김동렬 2025-01-12 3603
7207 방향론 김동렬 2025-01-11 3552
7206 다이나믹 진보 김동렬 2025-01-09 3742
7205 쿠데타세력 정리방법 김동렬 2025-01-08 4339
7204 성조기를 흔드는 진짜 이유 김동렬 2025-01-07 3585
7203 유시민도 모르는 극우화 이유 김동렬 2025-01-07 3645
7202 똥파리 세력의 준동 김동렬 2025-01-07 3065
7201 공수처가 망한 이유 김동렬 2025-01-06 3806
7200 변증법 3 김동렬 2025-01-05 3361
7199 윤석열 도주? 2 김동렬 2025-01-05 4587
7198 임영웅과 탑 김동렬 2025-01-05 2917
7197 최상목의 운명은 image 2 김동렬 2025-01-02 4830
7196 세법술 김동렬 2025-01-02 3894
7195 기정편 총정리 김동렬 2024-12-31 3553
7194 기정편 김동렬 2024-12-30 3751
7193 한덕수 카터 이재명 2 김동렬 2024-12-30 3372
7192 한덕수의 기행 image 1 김동렬 2024-12-29 3650
7191 권력론 김동렬 2024-12-28 3053
7190 군주론 김동렬 2024-12-27 4001
7189 예수는 누구인가? 김동렬 2024-12-26 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