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59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26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580
206 이탄희의 자멸정치 1 김동렬 2023-11-28 1740
205 신간 이기는 힘이 나왔습니다 image 4 김동렬 2023-11-26 1737
204 먹방 유튜버의 진실 김동렬 2024-04-18 1733
203 윤석열 사냥시즌 1 김동렬 2024-05-24 1729
202 짐 차노스와 일론 머스크 김동렬 2023-11-25 1729
201 LG 구광모 회장 잘할까? 김동렬 2023-11-19 1728
200 논리의 오류 김동렬 2024-02-04 1725
199 조절이냐 선택이냐 김동렬 2024-01-31 1725
198 이종섭이 무얼 잘못했지? 김동렬 2024-03-31 1724
197 인류문명 2.0 김동렬 2024-02-13 1719
196 말씀과 약속 김동렬 2023-11-10 1718
195 한동훈 최후의 발악 1 김동렬 2024-03-28 1716
194 순진한 한국인들 김동렬 2024-05-03 1710
193 넌 내게 모욕감을 줬어 김동렬 2024-03-24 1707
192 공천잡음 비명횡사 김동렬 2024-04-04 1706
191 87년 양김의 진실 김동렬 2023-12-03 1702
190 힘의 구조 김동렬 2023-08-19 1702
189 박용진은 정치를 배워라 2 김동렬 2024-03-20 1701
188 제 1 지식 김동렬 2023-12-11 1692
187 조절장치 김동렬 2024-01-29 1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