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72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082
6444 힘의 구조 김동렬 2023-08-19 1630
6443 한국인의 지적 허영심과 오펜하이머 김동렬 2023-08-18 2403
6442 힘이 짐을 이긴다 김동렬 2023-08-17 1668
6441 LK99 과학사기단 사건 전말 image 1 김동렬 2023-08-17 2072
6440 힘과 짐 김동렬 2023-08-16 1854
6439 이기는 힘 2 김동렬 2023-08-15 2023
6438 민주주의를 직시하자 김동렬 2023-08-14 1941
6437 한국인들의 민주주의 멀미 김동렬 2023-08-13 2406
6436 통해야 진짜다 김동렬 2023-08-12 2117
6435 거짓과의 싸움 1 김동렬 2023-08-11 2036
6434 나라 망했다 유시민 3 김동렬 2023-08-11 2390
6433 속임수를 간파하는 기술 김동렬 2023-08-10 2474
6432 윤석열이 버티는 이유 김동렬 2023-08-09 2891
6431 영화 더 문 폭망 이유? 감독이 바보 김동렬 2023-08-09 4149
6430 김훈은 잡놈이다. 1 김동렬 2023-08-08 3957
6429 무한동력의 슬픔 김동렬 2023-08-07 2209
6428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411
6427 윤석열 호남죽이기 유탄 맞은 잼버리 1 김동렬 2023-08-06 3254
6426 윤석열 살아야 하니까 무조건 된다. 김동렬 2023-08-05 2823
6425 인간들이 다 바보냐? image 김동렬 2023-08-04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