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22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77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584
212 존재 김동렬 2024-02-23 1422
211 존재의 존재 김동렬 2024-02-24 1364
210 초인 김동렬 2024-02-25 1363
209 달콤한 인생 김동렬 2024-02-25 1701
208 오자병법 손자병법 2 김동렬 2024-02-26 1700
207 신의 존재 김동렬 2024-02-26 1481
206 유권자의 갑질 김동렬 2024-02-26 1601
205 기정과 탱킹 2 김동렬 2024-02-27 1625
204 임종석과 자폐증 진보 4 김동렬 2024-02-28 1806
203 손자병법의 해악 김동렬 2024-02-28 1497
202 배신의 정치 응징의 정치 김동렬 2024-02-28 1752
201 문명과 야만 김동렬 2024-02-29 1459
200 셈과 구조 김동렬 2024-03-01 1253
199 사람이 답이다 1 김동렬 2024-03-01 1722
198 양면전쟁과 예방전쟁 김동렬 2024-03-02 1588
197 인간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24-03-02 2545
196 인간에 대한 환멸 2 김동렬 2024-03-04 1748
195 초월자 김동렬 2024-03-05 1371
194 동이족은 없다 김동렬 2024-03-05 1466
193 정의당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4-03-06 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