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13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5896
6514 카테고리 김동렬 2023-02-22 2057
6513 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 김동렬 2023-02-15 2059
6512 진짜 보수 우파 장성철? 김동렬 2023-01-30 2060
6511 성소수자 판결 김동렬 2022-06-25 2061
6510 거짓과의 싸움 1 김동렬 2023-08-11 2061
6509 지식의 타락이 위기의 본질 김동렬 2023-07-25 2076
6508 연결지향적 사고 김동렬 2023-01-20 2078
6507 수학과 구조론 김동렬 2023-01-02 2080
6506 무지의 지 김동렬 2023-02-24 2081
6505 영웅은 누구인가? 2 김동렬 2023-12-10 2083
6504 사색정리와 한붓그리기 image 김동렬 2023-04-23 2085
6503 관성의 법칙 김동렬 2022-05-10 2086
6502 정수 김동렬 2022-10-16 2086
6501 보고 알고 깨닫고 쥐고 다루고 김동렬 2022-05-04 2087
6500 이념은 없다 김동렬 2023-03-03 2090
6499 소로스와 열린사회 김동렬 2022-05-25 2091
6498 인류의 첫 걸음마 김동렬 2023-01-28 2092
6497 구조의 힘 김동렬 2022-09-29 2095
6496 구조를 알아야 한다 김동렬 2023-03-17 2095
6495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3-07-25 2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