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09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6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073
6750 세상에 안 미친 개는 없다 3 김동렬 2024-05-23 1593
6749 유권자의 갑질 김동렬 2024-02-26 1594
6748 동양은 신이 없다. 김동렬 2024-04-11 1605
6747 이찬종 알파독이론과 강형욱 카밍시그널 2 김동렬 2024-05-19 1607
6746 교언영색 한동훈 image 김동렬 2024-03-13 1609
6745 노무현 이후에 노무현이 없다 김동렬 2024-04-04 1613
6744 기정과 탱킹 2 김동렬 2024-02-27 1615
6743 이기는 힘 image 김동렬 2023-11-28 1616
6742 빡대가리 한동훈 1 김동렬 2024-04-23 1617
6741 이기는 힘 image 김동렬 2023-12-05 1618
6740 테크노 낙관주의 비판 1 김동렬 2023-11-24 1622
6739 정치란 이렇게 하는 것이란다 김동렬 2024-03-12 1631
6738 국힘당과 집단사고 김동렬 2024-04-05 1634
6737 의사결정 원리 김동렬 2023-11-22 1638
6736 신임을 잃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1 김동렬 2024-05-06 1638
6735 바보를 바보라고 불러야 한다 김동렬 2024-03-22 1642
6734 선거의 절대법칙 김동렬 2024-04-17 1644
6733 현대인의 비가역적 뇌손상 김동렬 2024-05-29 1647
6732 탁구공과 쇠공 문제 image 김동렬 2024-04-17 1650
6731 서편제와 동편제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24-02-20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