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39 vote 0 2023.06.28 (23:53:35)

    용산이 날로 막말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선거가 다가오자 초조해진 것이다. 본질은 지역감정 조장이다. 국민을 갈라치고 상대편 가슴에 원한을 쌓는다. 원한을 쌓은 자는 말로가 비참해진다. 전두환 보면 알 것이다. 


    40년 지난 일인데 앞으로 40년 더 씹힌다. 원한보존의 법칙 있다. 유태인을 보라. 아직도 나치를 추적하고 있다. 일본을 보라. 아직도 주변국과 갈등을 풀지 못했다. 그거 원래 안 없어진다. 잠시 덮어놓을 수는 있지만.


    정치초보가 거침없이 정치도박을 한다. 도박을 하면 호기심 때문에 잠시 지지율 오르지만 국민은 지친다. 도박은 사람을 계속 스트레스에 가두기 때문이다. 밀당을 하려면 풀고 조이고 해야 하는데 그것을 못한다.


    도박은 배팅액수를 계속 높여야 긴장이 유지된다. 오늘은 독한 말을 뱉었는데 내일은 무슨 말로 '받고 더블로 가!'를 외치겠는가? 폭언 다음은 폭력밖에 없다. 이미 노동자들과 대적한다며 용산참사 2를 예고했다.


    도박의 말로는 뻔하다. 일어날 일은 일어난다. 국민 모두가 알고 있다. 밀린 청구서가 돌아오면 망해도 폭싹 망하지. 용산의 악행이 점잖은 충청표 등 돌리게 한다는 사실을 사이코패스는 모른다. 사람 마음을 못 읽어.


    속을 잘 안 내비치는 사람이 속을 감추는 이유는 사실 감출 속이 없어서다. 중도성향 충청도 양반은 누구도 지지하지 않는다. 진보가 꼬셔도 넘어가지 않는다. 다만 아닌 사람은 걸러내고 부적격자를 거절할 뿐이다. 


    용산의 폭언이 충청도 중도를 무시하는 망언이라는 사실을 사이코패스는 절대 이해 못한다. 말로 위협하면 통한다고 생각하는게 사람을 무시하는 것. 힘자랑만하면 여자가 넘어온다고 생각하는 마초생각과 같다. 


    상대편은 나를 얼마나 업수이보면 이러나 하고 뜨악해한다. 용산은 양다리 걸치는 중도세력의 입지를 없애려고 저런다. 그 얄팍한 속을 들키고 만다. 중도가 가장 싫어하는 행동은 중도의 입지를 없애는 행동이다.


[레벨:30]스마일

2023.06.29 (09:52:36)

장희빈을 보면 

최고의 자리에 오르고 권력을 다 가졌는 데도 불안해 한다. 

왜 그럴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1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1
6779 광대역 웹캠 최신버전 김동렬 2003-06-10 19698
6778 탤런트 이유진의 고백 김동렬 2003-05-30 19695
6777 휘발유통에 라이터를 켜대는 난폭자의 등장 image 김동렬 2003-02-19 19673
6776 박정희의 슬로건 - 중단없는 전진 김동렬 2002-12-15 19623
6775 인지부조화와 확증편향 6 김동렬 2014-07-21 19617
6774 '신은 없다' 호킹 발언 김동렬 2010-09-12 19546
6773 까뮈의 이방인 김동렬 2006-07-14 19534
6772 동영상 강의 김동렬 2010-01-25 19523
6771 구조론 개념도 image 김동렬 2008-08-25 19494
6770 구조는 자이로스코프다. image 11 김동렬 2012-01-11 19489
6769 인터넷 글쓰기의 폐단인가?(펌) (노혜경) 2003-06-12 19457
6768 군대가서 좋은 점 image 김동렬 2003-07-14 19448
6767 "`고맙다 김대중`이라고 말하라" 김동렬 2003-01-10 19429
6766 맥아더의 동상을 철거하라 2005-09-17 19408
6765 물레방아와 축구경기 image 김동렬 2011-06-18 19395
6764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0-03-05 19305
6763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6-02-11 19265
6762 죄송한데여... 노원구민 2002-12-15 19247
6761 Re..실은 육지와 바다에 한 쌍의 손이지요. image 김동렬 2002-09-15 19241
6760 학문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22 19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