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52 vote 0 2023.06.12 (17:13:38)

    주먹이 벽을 치는 것이나 벽이 주먹을 치는 것이나 같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이다. 그런데 왜 그럴까? 에너지가 유체이기 때문이다. 고무공을 벽에 던지면 되돌아온다. 왜 되돌아올까? 고무공이 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체에 가깝기 때문이다. 포탄을 벽에 쏘면 되돌아오지 않는다. 왜 되돌아오지 않을까? 포탄이 강체이기 때문이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유체의 성질이다.


    유체는 내부에 압력이 걸려 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 말고 하나가 더 있다. 유체에 보이지 않는 손이 숨어 있다. 물은 수압이 걸려 있고, 공기는 기압이 걸려 있고, 열은 열압이 걸려 있고, 에너지는 파동압이 걸려 있다. 압력이 걸리면 파동의 간섭에 의해 내부는 균일해진다. 파동은 상쇄되고 보강되어 닫힌계 내부에서 균일해진다. 그럴 때 하나가 변하면 전체가 변한다.


    에너지는 계를 이루고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건드려 전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오뚝이는 제 발로 일어선다. 중력이 유체이기 때문이다. 유체는 내부에 자발적 움직임을 감추고 있다. 그것은 에너지의 성질이다. 유체는 인간이 외부에서 작용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여서 균형을 회복한다. 우리는 에너지의 자발성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에너지는 내부에서 움직이는 성질을 감추고 있다. 에너지가 움직이는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힘이다. 힘은 이기는 길로 간다. 수력발전을 하려면 물이 발전기보다 위치가 높아야 한다. 그래야 수압이 발전기를 이긴다. 에너지는 이기는 힘으로 통제할 수 있다. 99 대 1로 이기든 1 대 0으로 이기든 이긴다는 것은 같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경로를 디자인할 수 있다.


    인류가 모르는 것이 에너지의 자발성이다. 스스로 균형을 회복하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는 유체의 성질이다. 강체와 유체의 차이는 석탄과 석유의 차이와 같다. 석탄은 운반비가 들지만 석유는 송유관을 따라 제 발로 온다. 강체는 시계추처럼 두 방향으로 가지만 유체는 한 방향으로 간다. 강체는 외부의 유혹에 끌려 가지만 유체는 내부의 압력에 의해 등을 떠밀려 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29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981
5109 허선아, 개새끼들의 전성시대 김동렬 2020-12-31 4128
5108 인생의 정답은 YES다. 김동렬 2020-12-29 3668
5107 윤석열과 기레기들 김동렬 2020-12-28 4170
5106 유사 지식인 설민석들의 문제 김동렬 2020-12-28 3932
5105 유물론과 유심론 1 김동렬 2020-12-27 3256
5104 구조론과 엔트로피 image 김동렬 2020-12-27 2586
5103 엘리트냐 민중이냐? 1 김동렬 2020-12-26 3101
5102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5분 정리 4 김동렬 2020-12-26 3061
5101 엔트로피 3초 이해 image 김동렬 2020-12-25 3487
5100 예수는 누구인가? 김동렬 2020-12-24 3674
5099 권력과 의리 김동렬 2020-12-24 3322
5098 세상은 의미가 있다 14 김동렬 2020-12-23 3954
5097 철학과 인간 1 김동렬 2020-12-23 3394
5096 개혁의 정답은? 1 김동렬 2020-12-23 3083
5095 공자의 권력과 노자의 이득 김동렬 2020-12-22 3092
5094 구조론 간단정리 image 김동렬 2020-12-22 2674
5093 구조를 보라 김동렬 2020-12-21 2827
5092 안철수 삽질재개 image 김동렬 2020-12-20 3680
5091 다이아몬드 문재인 2 김동렬 2020-12-20 4099
5090 지식인이 좌절하는 이유 1 김동렬 2020-12-18 4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