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67 vote 0 2023.06.12 (17:13:38)

    주먹이 벽을 치는 것이나 벽이 주먹을 치는 것이나 같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이다. 그런데 왜 그럴까? 에너지가 유체이기 때문이다. 고무공을 벽에 던지면 되돌아온다. 왜 되돌아올까? 고무공이 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체에 가깝기 때문이다. 포탄을 벽에 쏘면 되돌아오지 않는다. 왜 되돌아오지 않을까? 포탄이 강체이기 때문이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유체의 성질이다.


    유체는 내부에 압력이 걸려 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 말고 하나가 더 있다. 유체에 보이지 않는 손이 숨어 있다. 물은 수압이 걸려 있고, 공기는 기압이 걸려 있고, 열은 열압이 걸려 있고, 에너지는 파동압이 걸려 있다. 압력이 걸리면 파동의 간섭에 의해 내부는 균일해진다. 파동은 상쇄되고 보강되어 닫힌계 내부에서 균일해진다. 그럴 때 하나가 변하면 전체가 변한다.


    에너지는 계를 이루고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건드려 전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오뚝이는 제 발로 일어선다. 중력이 유체이기 때문이다. 유체는 내부에 자발적 움직임을 감추고 있다. 그것은 에너지의 성질이다. 유체는 인간이 외부에서 작용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여서 균형을 회복한다. 우리는 에너지의 자발성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에너지는 내부에서 움직이는 성질을 감추고 있다. 에너지가 움직이는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힘이다. 힘은 이기는 길로 간다. 수력발전을 하려면 물이 발전기보다 위치가 높아야 한다. 그래야 수압이 발전기를 이긴다. 에너지는 이기는 힘으로 통제할 수 있다. 99 대 1로 이기든 1 대 0으로 이기든 이긴다는 것은 같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경로를 디자인할 수 있다.


    인류가 모르는 것이 에너지의 자발성이다. 스스로 균형을 회복하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는 유체의 성질이다. 강체와 유체의 차이는 석탄과 석유의 차이와 같다. 석탄은 운반비가 들지만 석유는 송유관을 따라 제 발로 온다. 강체는 시계추처럼 두 방향으로 가지만 유체는 한 방향으로 간다. 강체는 외부의 유혹에 끌려 가지만 유체는 내부의 압력에 의해 등을 떠밀려 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6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17
5152 의리 문재인 배신 김종인 2 김동렬 2021-02-01 3588
5151 인간은 의리다 김동렬 2021-02-01 3265
5150 행복에는 행복이 없다. 2 김동렬 2021-02-01 3408
5149 세상은 존재하는가? 김동렬 2021-01-31 3037
5148 행복타령 김형석, 어리광 빌런 박영선 image 김동렬 2021-01-30 3799
5147 모닥불 구조론 김동렬 2021-01-29 3585
5146 인생에 남는 것은 의미뿐이다 1 김동렬 2021-01-27 4121
5145 매트릭스 구조론 image 김동렬 2021-01-27 3332
5144 정의당 김종철의 경우 김동렬 2021-01-25 3929
5143 코끼리를 생각하라 1 김동렬 2021-01-25 3750
5142 잘 모르면 신과 연결하고 답을 기다려라 1 김동렬 2021-01-24 3655
5141 유시민과 한동훈 김동렬 2021-01-23 3648
5140 신은 우주상수다. 1 김동렬 2021-01-23 3734
5139 신은 죽지 않았다 김동렬 2021-01-22 3438
5138 진보는 에너지의 수렴이다 김동렬 2021-01-21 3074
5137 윤서인의 정신병 김동렬 2021-01-20 4083
5136 정동과 반동 김동렬 2021-01-19 3397
5135 머피의 진실 김동렬 2021-01-18 3493
5134 이런 자는 죽어야 한다. 뉴시스 김태규 image 2 김동렬 2021-01-18 4474
5133 연결만 하면 손해다? 1 김동렬 2021-01-17 3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