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29 vote 0 2023.06.12 (17:13:38)

    주먹이 벽을 치는 것이나 벽이 주먹을 치는 것이나 같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이다. 그런데 왜 그럴까? 에너지가 유체이기 때문이다. 고무공을 벽에 던지면 되돌아온다. 왜 되돌아올까? 고무공이 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체에 가깝기 때문이다. 포탄을 벽에 쏘면 되돌아오지 않는다. 왜 되돌아오지 않을까? 포탄이 강체이기 때문이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유체의 성질이다.


    유체는 내부에 압력이 걸려 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 말고 하나가 더 있다. 유체에 보이지 않는 손이 숨어 있다. 물은 수압이 걸려 있고, 공기는 기압이 걸려 있고, 열은 열압이 걸려 있고, 에너지는 파동압이 걸려 있다. 압력이 걸리면 파동의 간섭에 의해 내부는 균일해진다. 파동은 상쇄되고 보강되어 닫힌계 내부에서 균일해진다. 그럴 때 하나가 변하면 전체가 변한다.


    에너지는 계를 이루고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건드려 전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오뚝이는 제 발로 일어선다. 중력이 유체이기 때문이다. 유체는 내부에 자발적 움직임을 감추고 있다. 그것은 에너지의 성질이다. 유체는 인간이 외부에서 작용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여서 균형을 회복한다. 우리는 에너지의 자발성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에너지는 내부에서 움직이는 성질을 감추고 있다. 에너지가 움직이는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힘이다. 힘은 이기는 길로 간다. 수력발전을 하려면 물이 발전기보다 위치가 높아야 한다. 그래야 수압이 발전기를 이긴다. 에너지는 이기는 힘으로 통제할 수 있다. 99 대 1로 이기든 1 대 0으로 이기든 이긴다는 것은 같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경로를 디자인할 수 있다.


    인류가 모르는 것이 에너지의 자발성이다. 스스로 균형을 회복하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는 유체의 성질이다. 강체와 유체의 차이는 석탄과 석유의 차이와 같다. 석탄은 운반비가 들지만 석유는 송유관을 따라 제 발로 온다. 강체는 시계추처럼 두 방향으로 가지만 유체는 한 방향으로 간다. 강체는 외부의 유혹에 끌려 가지만 유체는 내부의 압력에 의해 등을 떠밀려 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53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594
1844 부정에서 긍정으로 1 김동렬 2020-11-19 3359
1843 똑똑한 사람들의 어리석은 결정 image 1 김동렬 2020-11-22 3658
1842 중간단계 화석은 없다. 김동렬 2020-11-22 3354
1841 방향성을 판단하라 1 김동렬 2020-11-22 3735
1840 다윈이 틀렸다. 3 김동렬 2020-11-22 3189
1839 다윈의 우상 1 김동렬 2020-11-23 2901
1838 왜 진화론이 문제인가? 김동렬 2020-11-24 2735
1837 방향을 판단하라. 김동렬 2020-11-24 2817
1836 원자론과 진화론 1 김동렬 2020-11-25 2935
1835 윤석열의 몰락 2 김동렬 2020-11-25 4301
1834 마이클 샌델의 거짓말 1 김동렬 2020-11-26 3716
1833 추미애 윤석열 마이클샌델 김동렬 2020-11-26 4071
1832 마이클 샌델의 정의는 없다 김동렬 2020-11-27 3327
1831 게임과 의리 김동렬 2020-11-28 3411
1830 정의당의 몰락법칙 1 김동렬 2020-11-29 3394
1829 공자의 위대함 김동렬 2020-11-29 3722
1828 사건과 게임 김동렬 2020-11-30 2968
1827 사건과 전략 1 김동렬 2020-12-01 2681
1826 변화 질서 전략 김동렬 2020-12-01 2642
1825 윤석열의 본심 2 김동렬 2020-12-01 4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