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66 vote 0 2023.06.08 (18:06:15)

    어원으로 보면 Think는 Thorn, through와 관련이 있다. 그것은 '쏘는Thorn' 것이다. 가시로 찔러 내부를 관통through하는 것이 생각하는 것이다. 생각은 객체 내부에 주목한다는 점이 각별하다. 생각한다는 것은 내부를 통과하는 것이다. 생각할 때 가시로 머릿속을 찌르며 아이디어가 통과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


    인류는 생각할 줄 모른다. 생각하는 대신에 반응한다. 생각은 내부를 통과하고 반응은 외부에서 집적댄다. 인류의 방법은 내부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환경의 자극에 반응하는 것이다. 인류는 상호작용하며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여 맞대응하는 과정에 아이디어를 얻는게 보통이다. 그것은 수동적인 사고다.


    우주 안의 모든 존재는 하나의 의사결정 플랫폼을 공유한다. 인류가 모르는 것이 그것이다. 생각한다는 것은 의사결정구조를 설명하는 것이다. 플랫폼 내부를 들여다봐야 한다. 그런데 인류는 외부에서 객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가리켜놓고 설명했다고 착각한다. 반응해놓고 생각한 걸로 친다.


    국어사전부터 잘못되어 있다. 원인은 '결과를 낳는 작용'이라고 설명하고 결과는 '원인으로 생겨난 것'이라고 기술한다. 이것은 대칭을 지렛대로 사용하여 객체를 가리킨 것이다. 외부를 가리켰을 뿐 내부를 관통하지 않는다. 내부를 들여다보지 않고 설명하지도 않는다. 이게 잘못이라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한다.


    일찍이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이 과학적 사유의 첫 단추를 꿰었다. 그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 원자론은 틀렸다. 원자는 결정된 것을 외부에 전달하는 단위이지 내부에서 결정하는 단위가 아니다. 요리사는 도마 위의 생선을 자른다. 도마가 플랫폼이다. 원자는 도마에서 잘린 결과물이지 자르는 원인물이 아니다.


    원자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인간은 가리키는 것과 설명하는 것을 구분하지 못한다. 결정하는 구조와 전달하는 단위를 구분하지 못한다. 인류는 거의 아무것도 모른다. 일단 생각할 줄 모른다. 생각은 내부를 관통하는 것이며 그러려면 내부의 존재를 인정해야 한다. 그런데 원자는 내부가 없어 생각할 수 없다.


    유체와 강체가 있다. 유체는 내부에서 변화를 일으키고 강체는 외부에 그 변화를 전달한다. 유체가 원인이고 강체는 결과다. 유체는 내부가 있고 강체는 내부가 없다. 우주가 유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유체는 힘을 생성한다는 점이 다르다. 강체는 전달할 뿐 힘을 조직하지 못한다. 플랫폼이 없기 때문이다.


    유체의 내부냐, 강체의 외부냐다. 내부에 주목하느냐, 외부에 주목하느냐다. 내부는 전제하고 외부는 진술한다. 인류는 내부의 전제와 외부의 진술을 하나의 도마에 올려놓고 사유하는 방법을 모른다. 밖을 알되 안을 모르고, 전달을 알되 결정을 모르고, 강체를 알되 유체를 모르고, 가리키되 설명할 줄 모른다.


    겉이 아니면 속이다. 생각은 속이다. 생각을 알 수 없으면 속을 알 수 없다고 한다. 인류의 문명은 겉문명이다. 속문명으로 갈아타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24 일타강사 전한길 1 김동렬 2025-01-22 3351
7223 구조론 1 김동렬 2025-01-22 3564
7222 윤석열 대선보이콧 지령 김동렬 2025-01-22 3229
7221 비대칭의 힘 김동렬 2025-01-21 3421
7220 윤석열 최후의 발악 image 김동렬 2025-01-21 3704
7219 선과 악의 과학 3 김동렬 2025-01-20 3530
7218 악인의 재능발견 5 김동렬 2025-01-19 3886
7217 무당정권의 기원 1 김동렬 2025-01-19 2918
7216 윤석열 감옥공천 김동렬 2025-01-18 3125
7215 병맛 과학자들 2 김동렬 2025-01-17 3224
7214 윤석열 몰락법칙 김동렬 2025-01-16 3718
7213 지능의 기원 3 김동렬 2025-01-16 3085
7212 슬픈 한국 3 김동렬 2025-01-15 3593
7211 창의가 가장 쉽다 10 김동렬 2025-01-14 3589
7210 멍청한 것이냐, 미친 것이냐 김동렬 2025-01-14 3203
7209 위기의 민주주의 4 김동렬 2025-01-12 4502
7208 토벌군은 의연하게 김동렬 2025-01-12 3547
7207 방향론 김동렬 2025-01-11 3473
7206 다이나믹 진보 김동렬 2025-01-09 3691
7205 쿠데타세력 정리방법 김동렬 2025-01-08 4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