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58 vote 0 2023.05.26 (19:45:01)


    힘이 모든 것이다. 우리가 힘을 알면 다 아는 것이다.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인류는 힘을 모른다. 여기서 막혔다.


    과학은 힘을 운동의 원인으로 설명한다. 힘은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이라고 한다. 이상하다. 왜 입자의 결과로 설명하지 않는가? 힘은 사건을 이루는 질, 입자, 힘, 운동, 량 중의 일부다. 사건의 전체과정 안에서 힘을 파악해야 한다.


    변화는 결과다.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으로 설명하는 것은 '나는 내 아들의 아버지'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것과 같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하나마나한 말이다. 원인은 크고 결과는 작다. 작은 것으로 큰 것을 설명한다고? 캘리포니아주를 미국의 한 주라고 설명할 수는 있지만 미국을 캘리포니아주를 포함한 나라로 설명한다면 미친 거다.


    부분으로 전체를 설명할 수 없다. 힘을 설명하려면 힘보다 큰 것을 들고 와야 한다. 그것은 입자다. 입자는 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질은 사건의 메커니즘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힘을 변화의 원인이다. 우리가 변화를 인지하는 것은 량이다. 량을 결정하는 것은 운동이다. 운동을 격발하는 것은 힘이다. 힘을 담고 있는 그릇은 입자다. 입자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은 질이다.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것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원래부터 있었다. 최종적으로 에너지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


    인류는 힘이 무엇인지 모를 뿐만 아니라 설명이 무엇인지도 모른다. 설명이 무엇인지 모르므로 힘을 설명하지 않는다. 그냥 선언한다. 힘을 변화나 운동으로 설명하는 것은 설명이 아니라 선언이다. 메커니즘을 설명해야 설명한 것이다.


    지렛대를 움직이면 힘이 작용한다. 막대기를 구성하는 작용점, 받침점, 힘점 셋에 객체와 사람까지 다섯이 필요하다. 사람이 막대기와 받침점을 이용하여 물체에 힘을 가한다. 모든 움직이는 것에는 이러한 의사결정의 구조가 숨어 있다.


    힘은 에너지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입자는 서로 대칭되는 두 방향을 붙잡고 있는 것이다. 그 붙잡은 것을 놓아버리면 힘이 작용한다. 궁극적으로는 작용반작용 대칭의 코어를 움직이는 것이 힘이다. 대칭은 축을 공유한다. 공유가 깨지는 것이 힘이다. 두 씨름 선수가 서로의 샅바를 잡고 있다. 서로를 공유하고 있다. 축이 움직여 그것을 떼어놓는 것이 힘이다.


    입자는 두 방향의 에너지 대칭이 접점을 공유하는 것이고 그 공유가 깨지면 힘이 발생한다. 활과 화살은 서로를 공유한다. 공유상태가 깨지면 힘이 발생한다. 힘은 공유를 깨는 것이다. 공유를 이루는 것이 입자라면, 공유를 만드는 것은 질이다.


    공유할 수 없음은 에너지의 성질이다. 모든 힘이 궁극적으로 척력인 이유다. 척력이 교착되어 닫힌계가 만들어지면 코어가 공유된다. 질은 닫힌계를 만들고 입자는 대칭과 코어를 발생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고 힘은 그 구조를 깨고 운동은 그것을 밖으로 드러내며 량은 우리가 그 변화를 인지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7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93
1692 아킬레스와 거북이 3 김동렬 2020-06-02 3632
1691 노동의 슬픔 김동렬 2023-05-02 3631
1690 사유의 표준촛불 김동렬 2021-10-01 3629
1689 이정후의 매력 1 김동렬 2020-06-26 3629
1688 세월호와 비행기 김동렬 2023-05-17 3628
1687 전략과 전술 김동렬 2021-11-05 3628
1686 심리학은 지적 사기다 2 김동렬 2021-01-04 3626
1685 온난화의 위기와 고통의 방정식 김동렬 2022-07-24 3624
1684 밉상이 된 윤석열 1 김동렬 2022-07-15 3623
1683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20-07-03 3623
1682 쥴리 볼케이노 대폭발 김동렬 2021-12-01 3622
1681 노답자매 배현진중권 1 김동렬 2020-07-15 3622
1680 금태섭, 진중권의 독점시장 4 김동렬 2020-06-30 3622
1679 구조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0-09-24 3621
1678 김대중의 예견 김동렬 2021-10-16 3619
1677 깨달음으로 가는 길 3 김동렬 2018-12-12 3619
1676 안시성과 구조론 1 김동렬 2018-10-12 3618
1675 이야기의 단초 김동렬 2021-07-08 3615
1674 진중권 패 이준석 승 3 김동렬 2021-05-29 3615
1673 윤석열 가면을 벗긴 조성은 1 김동렬 2021-09-11 3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