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95 vote 0 2023.05.23 (21:09:31)


    세계 최대 정원 박람회라는 영국 첼시 플라워쇼에서 왕이 된 찰스가 안아줬다는데. 찰스가 간만에 밥값은 한 거다. 작품명 백만 년 전으로부터 온 편지. 박원순 때 버려진 신발 3만 켤레로 만든 서울역 슈즈트리 더럽다고 치우라고 말한 한국인의 악랄한 황지해 죽이기 기억한다.


    황지해의 슈즈트리를 옹호한 자와 비난한 자로 인간과 짐승이 나누어졌고 되물릴 수 없게 되었다. 인간과 짐승의 싸움은 영원하다. 한국인은 교양이 없다. 교양이 없으면 짐승이다. 어떻게 작가를 몰라보냐. 백남준은 피아노나 때려부수고 넥타이 자른 사람이라 하면 되겠네,


    정명훈은 까만 옷 입고 앞에서 젓가락 흔드는 사람이고? 수준 이하를 들켜버려. 중요한건 철학이다. 기술은 중요하지 않다. 황지해 정원은 일본정원과 정확히 반대되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 일본 정원은 원래 자객이 다가오지 못하도록 자갈을 깔아서 발소리가 나도록 한 거다.


    자갈마당이 왜 창녀촌을 의미하는지 알 것이다. 여성이 달아나지 못하게 자갈을 깔아놓은 것이다. 달아나면 자갈 밟는 소리가 난다. 물론 성매매 남성이 방문하는 소리를 들으려는 뜻도 있다. 자객이 숨어들지 못하게 나무 키를 크기 못하게 막은게 아기자기한 일본 정원이다.


    유럽식 기하학적 정원도 생태적이지 않다. 왕의 권위를 과시하는 허세정원이다. 반대로 한국 정원은 자객이 활개 치고 돌아다닐 것 같다. 황지해 작가는 섬뜩한 도깨비집 느낌을 나게 하는데 아이러니가 있다. 서낭당의 섬뜩함과 야생화의 편안함의 조화가 기가 막히는 것이다.


    이걸 1초 만에 알아보지 못하는 등신들과 대화할 이유가 없다. 어린이는 숨바꼭질을 좋아한다. 숨으면 긴장하고 다시 나타나면 깔깔거린다. 긴장과 이완의 조화에 카타르시스가 있다. 황지해 정원은 섬뜩하면서 편안하다. 서로 모순되는 두 감정의 충돌이 아이러니를 만든다.


    그것은 인상주의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을 보자. 명과 암의 대비, 동과 정의 대비다. 서로 모순되는 둘을 하나의 공간에 공존시킬 때 인간은 전율한다. 중국정원은 노장사상에 따라 노인숭배, 기암괴석, 괴력난신, 괴짜정원. 억지 풍수사상에 눈요깃거리로 만든 허풍에 허세다.


    황지해 정원은 인류의 보편성이 있다. 그 정원은 어린이가 숨바꼭질할 만한 마법사의 공간이다. 고흐 그림의 보편성과 같다. 어린이도 고흐 그림은 좋아한다. 슈즈트리 욕한 사람은 양심적으로 반성하자.


40977_54957_429.jpg



    그 공간은 어린이가 숨바꼭질 할만한 마법사의 공간


2021022101002128000191141.jpg


    감각의 충돌을 일으키는 에드워드 호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6400 윤석열의 점령군 정치 김동렬 2023-07-17 2436
6399 하나가 더 있다 김동렬 2023-07-17 2095
6398 충청도 죽이기 김동렬 2023-07-16 2431
6397 완전성의 세계관 김동렬 2023-07-15 2214
6396 교권붕괴가 학교폭력 원인이다 1 김동렬 2023-07-14 3321
6395 궁예와 견훤의 진실 김동렬 2023-07-14 2331
6394 마크 저커버그 승 일론 머스크 패 김동렬 2023-07-13 2526
6393 부름과 응답 김동렬 2023-07-13 2447
6392 진보의 본질은 지정학이다 김동렬 2023-07-12 3920
6391 명령 김동렬 2023-07-11 3041
6390 단위 김동렬 2023-07-11 2890
6389 유시민이 똑똑해졌다 김동렬 2023-07-10 3826
6388 전율하라 김동렬 2023-07-09 3655
6387 차별본능의 극복 김동렬 2023-07-09 2762
6386 밸런스의 힘 김동렬 2023-07-09 2401
6385 구조 속의 구조 김동렬 2023-07-08 2351
6384 구조가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3-07-07 3303
6383 구조는 왜 다섯인가? 김동렬 2023-07-06 3228
6382 사냥꾼의 관점 김동렬 2023-07-06 2887
6381 역사의 고통 김동렬 2023-07-06 2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