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474 vote 0 2023.05.12 (09:53:37)

    카카오가 남들 안 하는 이상한 짓을 많이 했다. 사람들은 묻는다. '우리가 해도 되는게 뭐냐?' 법적으로 허용된 것을 하려는 것이다. 카카오는 반대로 생각한다. '왜 못하지?' 할 수 있으면 한다. 사고방식의 차이다. 미리 울타리를 쳐놓고 울타리 안에서 답을 찾는 것과 일단 일을 벌여놓고 가다가 막히면 대응하는 것의 차이다.


    길이 든 말과 야생마는 사고방식이 다르다. 그들은 야생마다. 업자들이 부동산 가격을 올릴 수 있으면 올린다. 업자는 야생마다. 문재인 정부는 길이 든 말이다. 길이 든 말이 야생마의 습성을 이해하지 못한다.


    비트코인도 마찬가지다. 가격을 올릴 수 있느냐가 이 게임의 본질이다. 문재인 정부의 압박으로 부동산 거래가 줄면 가격 올리기 쉬워진다. 소비가 막히면 보복소비가 따른다. 정부의 수요억제에 따른 대기수요가 한꺼번에 몰리면? 업자가 담합할 수 있도록 정부가 타이밍을 찍어준 셈이다.


    '내팀내 올팀올'은 언제나 적용된다. 동기억제는 원래 안 된다. 동기는 잠시 미루는 것이 가능할 뿐이다. 물리학을 심리학으로 막을 수 없다. 구조론은 간단히 '할 수 있는 것을 한다'는 거다. 반대편에 동기논리가 있다. 그런 사람과는 대화가 안 통한다. 꽉 막혀 있다.


    사람들은 길이 든 말이다. 당근을 주면 먹는다. 길이 든 말은 사람을 쳐다본다. 상대 행동을 보고 대응한다. 야생마는 그런거 없다. 이리저리 찔러보고 한 구멍이라도 뚫리면 탈출한다. 야생마는 사람을 쳐다보지 않는다. 울타리만 쳐다본다. 일방통행 논리다.


    인간의 목적, 의도, 계획, 야심, 이념, 야망, 음모 따위는 대부분 개소리다. 애초에 인간은 동기에 의해 움직이는 동물이 아니다. 동기는 길이 든 말이고 인간은 언제든 짐승의 본래 모습으로 돌아간다. 애초에 동기는 귀찮게 자꾸 물어보니까 아무거나 주워섬기는 것이다.


    할 수 있으면 그것을 한다. 풍선에 구멍이 있으면 바람이 빠진다. 약한 고리를 발견하면 그것을 끊는다. 조직의 약점을 찾으면 흥분하여 달려든다. 호르몬이 나오면 몸이 반응한다.


    코인이 과연 화폐가치가 있느냐? 이게 전형적인 동기론이다. 동기와 상관없다. 그림이든 골동품이든 다들 가격을 올리고 싶어 한다. 그런데 올릴 수 있느냐다. 올릴 수 있으면 올린다. 올릴 수 있는데 왜 안 올려?


    '얼마까지 오를까'가 아니라 '얼마까지 올릴 수 있을까'다. 얼마가 적당한 가격일까? 그런거 없다. 각국 정부가 코인을 죽이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데 미국의 정권교체기를 노리면 얼마까지 올릴 수 있을까? 이슈가 터지면 이심전심으로 일제히 밀어볼 것인데 각국 정부의 맞대응을 고려하면 얼마까지 가능할까? 이게 정답이다.


    인공지능을 사용하면 코인 가격을 올릴 수 있다. 그러면 올린다. 왜냐하면 올릴 수 있으니까. 막을 테면 막아봐라. 이렇게 되는 거다. 이는 야생마의 습성이다.


    인간의 행동이 동기에 지배된다는 잘못된 사고 때문에 오판한다. 인간은 길든 말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다. 틀렸다. 업자들은 야생마다. 막는 쪽은 모든 구멍을 틀어막아야 하지만 뚫는 쪽은 한 구멍만 뚫으면 된다. 모든 구멍을 막으면 내부압력이 증가해서 더 쉽게 뚫린다. 부동산 거래량이 줄면 업자는 더 쉽게 정부의 약점을 찾아낸다. 거래량을 늘려서 업자의 담합을 방해해야 한다.


    비트코인에 대해 찬반 주장이 아니다. 부동산이나 골동품, 미술품, 사치품도 마찬가지다. 동기와 관계없다. 올릴 수 있으면 올리는데 올릴 수 있나? 뭐든 막기는 어렵고 뚫기는 쉽다. 협동은 여럿이 힘을 합쳐야 되는데 훼방꾼은 혼자 발목 잡는다.


    국경은 어디에 그어지는가? 물리적으로 막히는 지점에 그어진다. 산과 강을 경계로 국경이 들어선다. 비트코인은 더 이상 올릴 수 없게 되는 내시균형까지 간다. 가치가 있어서 오른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올릴 수 있어서 올린 것이다.


[레벨:10]dksnow

2023.05.12 (10:15:33)

https://www.macroaxis.com/invest/pair-correlation/NVDA/BTC.CC/NVIDIA-vs-Bitcoin


비트코인과 엔비디아가 같은 경향성을 보여줍니다.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병렬계산에 특화된 비메모리 회사인 엔비디아.


1960 브레튼 우즈 붕괴, 달러 -금

1974 페트로 달러,          달러-오일

1985 플라자 합의,           달러 (혹은 미국채)-일본 엔, 독일 마르크,

2008 리만 브러더스,      달러-오일 체제의 붕괴, 하지만, 중국은, 일대일로 (미국 국채 사지 않음).


달러체제의 균열, 그순간 가치가 뛴, 비트코인-블럭체인. 

프로필 이미지 [레벨:7]SimplyRed

2023.05.13 (15:54:48)

새로운 입법, 제도도 평형을 찾아가고,
생물체의 외관도 물리법칙, 태양계 등을 토대로, 지구 중력, 대기압 등 환경과 생물의 생장구조의 평형을 찾아간다.

장군이요, 멍이요 하지 못하는 지점까지 진행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48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651
1826 진보의 전략과 보수의 전술 김동렬 2020-12-02 3451
1825 박근혜와 문재인 5 김동렬 2020-12-03 4171
1824 변하지 않는 것은 관계다 2 김동렬 2020-12-03 3410
1823 하남 위례성의 비극 image 1 김동렬 2020-12-04 4305
1822 전략의 기본 1 김동렬 2020-12-04 3820
1821 전략론 1 김동렬 2020-12-05 3050
1820 향원을 토벌하라 김동렬 2020-12-06 3055
1819 전략균형론 1 김동렬 2020-12-06 3211
1818 국힘당이 사과할 이유는 없다 김동렬 2020-12-07 3464
1817 의리 없는 홍정욱 image 5 김동렬 2020-12-08 3679
1816 사색문제의 접근 image 4 김동렬 2020-12-08 3292
1815 대화와 타협은 원래 안 된다 김동렬 2020-12-08 3621
1814 사색문제의 이해 image 김동렬 2020-12-09 5081
1813 사색정리 결산 김동렬 2020-12-09 2621
1812 사색문제와 차원 김동렬 2020-12-09 2693
1811 김종인의 사과놀이 실패 김동렬 2020-12-10 3074
1810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577
1809 공수처가 부메랑이 된다 김동렬 2020-12-11 3884
1808 누가 신을 결박하는가? 1 김동렬 2020-12-11 3622
1807 김기덕, 어떤 천재의 최후 김동렬 2020-12-12 4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