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학폭예방법의 가장 큰 문제는 관계를 배울 기회를 실종시켜 버렸다는 점이다. 심각한 폭력은 엄벌도 필요하고 피해자 보호에 초점도 맞춰야겠지만, 어쨌든 중요한 건 아이들이 타인과 부대끼며 갈등도 느끼고, 불편함도 경험하면서 나의 자유의 범위와 타인의 자유의 범위, 그 애매한 경계를 탐색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학폭 피해를 막는데만 초점을 맞추면 배울 것을 배우지 못한다. 마치 무균실의 실험동물과 같게 된다. 학폭이란 프레임에 갖히는 순간 아이들은 관계의 단절과 실종을 경험한다. 보호되는 것 같지만 소외와 단절로 학폭 상황이나 이후 상황이나 나아진 것이 없다.

학폭예방을 위한 관계교육도 필요하고, 학폭이 발생한 상황, 학폭 문제 이후에도 관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그런데 문제는 관계교육을 위해 교사들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더 큰 문제는 관계교육을 하려고 해도 학폭예방법 자체가 절차법 위주고 부모들의 민감성은 극에 달해있어서 교사가 학생들이 관계를 탐색하고 회복하도록 시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러니 한숨만이 나온다. 개인적으로 산전수전 다 겪어서 어떻게 해서든 관계회복으로 이끌 수 있는 지식과 경험, 감각이 있어서 나도 하고 다른 선생님들도 도울 수 있지만, 그렇다고 다른 선생님들에게 나처럼 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는 관계를 연구하고 학생들이 사회성을 기르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러니 관계를 배워야 하고, 경험을 쌓아야 하고, 실천하고 연구하고 관계속에서 성장해야 한다. 당위에 그칠지도 모르는 이 말을 하는 이유는 그래야 대한민국 교육에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

[학폭] 학교폭력 문제를 관계의 회복으로 이끌 수 있을까?

학교폭력대책강화 11년, 교사가 할 수 있는 학폭문제해결 접근법

③학폭 엄벌주의가 절대적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교사는 관계 문제를 가장 깊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도울 수 있다.

기사 클릭 : 

http://m.news.eduhope.net/25167?fbclid=IwAR3xrP3vO57bjGvK5e2c3s1Ypjs0Ju6sEmuC-YsVFaBszgY9Mf4NSfhlzvA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625
637 아인슈타인의 절대성이 문제 chow 2022-09-19 2645
63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22 2641
635 다시 보는 4대강 찬동인사와 언론 3 수원나그네 2018-07-08 2640
634 한국 인문사회과학 풍토 눈마 2017-03-24 2640
633 지금 우리 교육은 모순의 시대 3 이상우 2022-10-12 2638
632 경주최부자 후손이 개천절에~ image 수원나그네 2018-09-19 2628
631 구조론으로 익힌것. 눈마 2016-12-23 2627
630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1-03 2624
629 < '소설'이라 이름 붙이고 직감이라고 읽어야 하리> 3 아란도 2021-10-07 2622
628 구조론을 배운 홍어 김동렬 2018-02-09 2615
627 생각의 정석 70회 오세 2015-03-14 2615
626 거시세계의 불연속성 image 2 chow 2023-01-30 2612
625 얼룩말의 줄무늬 역할 김동렬 2018-09-13 2609
624 [제민] 꿈꾸는 자여 주인이 되어라 image ahmoo 2017-06-22 2600
623 정의의 낙차 개념 2 다음 2021-10-14 2595
622 오징어게임과 주식시장 - 고수가 이긴다 2 레인3 2021-10-04 2590
62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9-22 2579
620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77
619 사유리의 무개념 image 1 김동렬 2018-01-16 2577
618 무량판 구조에서 펀칭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chow 2023-07-30 2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