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73 vote 0 2023.04.10 (19:45:37)

    영국에 여왕이 많은 이유는 왕을 해봤자 얻는게 없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에카테리나 여제나 당나라의 무측천처럼 권력투쟁을 통해 여왕이 된 경우는 드물다. 미국에 여자 대통령이 없는 것과 같다. 대통령 권력이 막강하고 다툼이 치열해서 여성 정치인에게 불리하다.


    신라에 여왕이 여럿 있는 이유는 왕을 해봤자 얻는게 없었기 때문이다. 신라는 박석김이 돌아가면서 왕을 하는가 하면 왕을 양보하기도 한다. 유리왕과 석탈해가 그랬다. 서로 양보하다가 나이순으로 해먹었다. 반란이 있었지만 백제와 고구려에 비해서는 내란이 적었다.


    남해 차차웅은 사위 석탈해를 대보로 임명하여 군사와 국정을 맡겼다. 그럼 왕은 무엇을 하지? 놀았다. 제사를 지내는 일 외에 할 것이 없다. 이때부터 사실상 매금왕과 갈문왕의 역할분담이 시작된 것이다. 신라가 흥한 이유는 지정학적 구조와 의사결정 구조 때문이다.


    지정학적으로는 항구와 가까우면서도 낙동강 상류를 차지하고 있다. 상류가 하류보다 유리하다. 하류로 가면 저절로 모이지만 상류로 가면 흩어진다. 평양과 개성과 서울과 부여는 모두 강의 하류다. 세곡을 운반하기는 쉽지만 방어하기는 어렵다. 산골이라도 좋지는 않다.


    경북지역은 말갈족이 침략해 오면 도망갈 곳이 없다. 신라는 낙동강 상류와 한강 상류를 차지하는 바람에 유리해진 것이다. 중국 역대 왕조가 황하의 상류에 자리 잡은 것과 같다. 양자강 하류에 자리 잡은 오나라는 오래 버티지 못했다. 촉나라 성도는 너무 궁벽한 상류다.


    의사결정구조 역시 중요하다. 골품제도 초반에는 기여했다. 삼국통일 후에는 당나라에 인재를 뺏기는 원인이 되었지만. 다이묘가 권력을 세습하는 일본보다는 낫다. 당시 고구려와 백제는 귀족이 독점했다. 중세 유럽도 농노가 갑자기 재상이 되는 되거나 하는 일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흉노의 영향을 받아 유목민의 관습을 보존한 신라의 의사결정구조가 더 우수했던 것이다. 당시는 유목민이 농경민보다 많은 부분에서 앞서 있었다. 인구가 적어서 곧 역전되었지만. 중앙집권과 전제왕권이 우수한 제도라는 생각은 중국의 영향으로 왜곡된 것이다.


    북한도 미국과 대결하다가 망가진 것이다. 중국의 침략 위협에 노출된 고구려와 백제가 불리했던 것은 사실이다. 인간은 환경이 나쁘면 더 나쁜 결정을 내린다. 내시균형에 잡혀 차악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차악이 조금씩 축적되어 최악 된다. 최선의 결정을 하려면?


    환경이 최선이라야 한다. 미국이 그러하다. 유럽도 비슷하다. 그런데도 신라가 결국 망한 이유는? 적절한 시점에 수도를 옮겼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강과 낙동강으로 좁혀서 보면 신라가 유리하지만 한반도 전체로 보면 경주는 궁벽한 오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09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841
5823 인간은 권력지향적 존재다 김동렬 2022-04-25 2200
5822 과학의 알파와 오메가 1 김동렬 2022-04-24 2258
5821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22-04-23 2078
5820 검수완박 심심한 성과 김동렬 2022-04-23 2683
5819 본질지향에서 도구지향으로 김동렬 2022-04-23 1913
5818 한국의 생태적 지위 1 김동렬 2022-04-22 2819
5817 인간은 직관의 동물이다 김동렬 2022-04-21 2406
5816 러시아 막기는 쉽다 김동렬 2022-04-20 2466
5815 검수완박 대환영 윤석열 1 김동렬 2022-04-20 2500
5814 촘스키의 타락 11 김동렬 2022-04-18 3160
5813 사람을 사냥하는 진중권들 김동렬 2022-04-17 2619
5812 본질을 넘어 도구로 김동렬 2022-04-15 2149
5811 본질과 도구 김동렬 2022-04-14 2329
5810 비겁한 한국인들 1 김동렬 2022-04-14 3310
5809 인간을 이해하라 김동렬 2022-04-13 2259
5808 잘 사는 방법 김동렬 2022-04-13 2757
5807 전쟁은 장난이 아니다 김동렬 2022-04-11 2427
5806 젤렌스키와 푸틴 김동렬 2022-04-10 2615
5805 철학의 첫 단추 김동렬 2022-04-09 2079
5804 우러전쟁의 교훈 1 김동렬 2022-04-09 2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