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75 vote 0 2023.04.10 (19:45:37)

    영국에 여왕이 많은 이유는 왕을 해봤자 얻는게 없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에카테리나 여제나 당나라의 무측천처럼 권력투쟁을 통해 여왕이 된 경우는 드물다. 미국에 여자 대통령이 없는 것과 같다. 대통령 권력이 막강하고 다툼이 치열해서 여성 정치인에게 불리하다.


    신라에 여왕이 여럿 있는 이유는 왕을 해봤자 얻는게 없었기 때문이다. 신라는 박석김이 돌아가면서 왕을 하는가 하면 왕을 양보하기도 한다. 유리왕과 석탈해가 그랬다. 서로 양보하다가 나이순으로 해먹었다. 반란이 있었지만 백제와 고구려에 비해서는 내란이 적었다.


    남해 차차웅은 사위 석탈해를 대보로 임명하여 군사와 국정을 맡겼다. 그럼 왕은 무엇을 하지? 놀았다. 제사를 지내는 일 외에 할 것이 없다. 이때부터 사실상 매금왕과 갈문왕의 역할분담이 시작된 것이다. 신라가 흥한 이유는 지정학적 구조와 의사결정 구조 때문이다.


    지정학적으로는 항구와 가까우면서도 낙동강 상류를 차지하고 있다. 상류가 하류보다 유리하다. 하류로 가면 저절로 모이지만 상류로 가면 흩어진다. 평양과 개성과 서울과 부여는 모두 강의 하류다. 세곡을 운반하기는 쉽지만 방어하기는 어렵다. 산골이라도 좋지는 않다.


    경북지역은 말갈족이 침략해 오면 도망갈 곳이 없다. 신라는 낙동강 상류와 한강 상류를 차지하는 바람에 유리해진 것이다. 중국 역대 왕조가 황하의 상류에 자리 잡은 것과 같다. 양자강 하류에 자리 잡은 오나라는 오래 버티지 못했다. 촉나라 성도는 너무 궁벽한 상류다.


    의사결정구조 역시 중요하다. 골품제도 초반에는 기여했다. 삼국통일 후에는 당나라에 인재를 뺏기는 원인이 되었지만. 다이묘가 권력을 세습하는 일본보다는 낫다. 당시 고구려와 백제는 귀족이 독점했다. 중세 유럽도 농노가 갑자기 재상이 되는 되거나 하는 일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흉노의 영향을 받아 유목민의 관습을 보존한 신라의 의사결정구조가 더 우수했던 것이다. 당시는 유목민이 농경민보다 많은 부분에서 앞서 있었다. 인구가 적어서 곧 역전되었지만. 중앙집권과 전제왕권이 우수한 제도라는 생각은 중국의 영향으로 왜곡된 것이다.


    북한도 미국과 대결하다가 망가진 것이다. 중국의 침략 위협에 노출된 고구려와 백제가 불리했던 것은 사실이다. 인간은 환경이 나쁘면 더 나쁜 결정을 내린다. 내시균형에 잡혀 차악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차악이 조금씩 축적되어 최악 된다. 최선의 결정을 하려면?


    환경이 최선이라야 한다. 미국이 그러하다. 유럽도 비슷하다. 그런데도 신라가 결국 망한 이유는? 적절한 시점에 수도를 옮겼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강과 낙동강으로 좁혀서 보면 신라가 유리하지만 한반도 전체로 보면 경주는 궁벽한 오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17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433
1105 생각은 도구를 쓴다. 1 김동렬 2019-11-26 3040
1104 구조압과 구조손실 1 김동렬 2019-06-17 3040
1103 구조론은 도구다 1 김동렬 2018-11-15 3040
1102 1차대전의 참호전 1 김동렬 2022-01-22 3039
1101 생각의 출발 김동렬 2023-06-08 3038
1100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21-10-31 3038
1099 전략론 1 김동렬 2020-12-05 3038
1098 구조론 입문 해설 김동렬 2020-10-29 3038
1097 관계 중심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5-05 3038
1096 구조론은 언어다 1 김동렬 2019-10-21 3036
1095 구조론적 행동주의 김동렬 2022-01-09 3035
1094 유전자의 눈 김동렬 2021-11-14 3034
1093 구조론에 대해 질문하려면 1 김동렬 2021-02-08 3030
1092 원자론과 구조론 image 5 김동렬 2020-01-13 3030
1091 엘리트의 생존법 김동렬 2022-09-28 3026
1090 무능한 장군과 유능한 장군 image 김동렬 2022-10-26 3025
1089 한일관계를 보는 시선 2 김동렬 2023-03-16 3023
1088 하루에 1초만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1-09-13 3020
1087 과학계가 틀렸다 김동렬 2022-01-26 3018
1086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5분 정리 4 김동렬 2020-12-26 3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