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64 vote 0 2023.04.10 (11:14:49)

    옛날에는 독고다이가 인기가 있었다. 카미카제 특공대가 독고다이 기원이다. 야쿠자는 혼자 죽으러 가는 자객을 독고다이라고 한다. 별로 좋은 의미가 아니다. 만화나 영화는 혼자 활동하는 독고다이 캐릭터가 인기가 있다. 특공特攻과 독고獨孤를 헷갈린 것이다.


    정치판은 독고다이가 성공한다. 배후에 받쳐주는 세력이 있으면 지들끼리 짜고쳐서 국민이 소외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상이다. 국민들이 스스로 세력화 되어야 한다. 자신이 정치인의 배후가 되어야 한다. 풀뿌리 정치를 키워서 정당과 국민이 서로 친해야 한다.


    독고다이 환상은 인간의 추종본능 때문이다. 그들은 특별히 우월한 존재가 있다고 믿고 어디서 메시아가 재림하기를 기다린다. 히어로의 출현을 기다리며 자신은 한 없이 작아진다. 자신을 구원의 대상으로 여기는 거다. 자신을 불쌍한 존재로 여기면 불쌍해진다.


    이찍들은 독고다이 윤씨가 혼자 북 치고 장구 치며 잘할지도 몰라 하고 도박을 한 것이다. 만화책에는 독고다이가 영웅이니까. 영화를 봐도 주인공은 왕따가 되어 혼자 활동하니까. 그 만화를 보는 만화방 죽돌이들은 불쌍한 사람들이다. 불쌍한 자의 기준에 맞춘다.


    다 같이 불쌍해진다. 구조론을 안 배우면 이렇게 된다. 잘하겠다는 생각만 가지고는 잘할 수 없다는게 구조론이다. 잘하려면 시스템이 받쳐줘야 한다.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기득권이 뒷구멍으로 짜고 치는 시스템을 개혁하여 새로운 시스템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 작업은 영원히 계속된다. 계속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고 새로운 뒷구멍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윤씨는 민주당도 국힘당도 아닌 중간자적 존재로 자리매김해서 똥파리의 왕 벨제붑 진중권과 서민, 신평의 사랑을 받았다. 멘토 신평도 한때는 괜찮은 사람이었다.


    판사시절 명판결을 했고 대법원장과 싸우다 나왔는데 전 부인이 민주당에서 활동한 조배숙이다. 이쪽 사람인데 고향 대구의 분위기를 따라간 것이다. 왜 신평은 윤석열을 지지했을까? 본인이 갈 곳 없는 독고다이였기 때문이다. 사실 진중권과 서민도 독고다이다.


    독고다이가 독고다이를 추종한다. 그들이 독고다이가 된 것은 성격이 더러워서다. 필자도 비슷하다.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판에 끼이지 못하고 겉도는 사람이 권력욕을 가지면 진중권 되고, 신평 되고, 서민 된다. 필자는 구조론 때문에 그렇게 못하는 거다.


    개인은 언제나 내시균형에 몰려서 차악을 선택한다. 차악이 계속 모이면 거대악이 되는게 법칙이다. 윤석열도 차악을 선택했고 진중권도 차악을 선택한 것이다. 개인은 언제나 차악을 선택한다. 오직 시스템만 최선을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 정치가 아니면 안 된다.


    시스템은 스스로 에너지를 조직하여 혁신을 이루지만 개인은 이미 만들어진 에너지 흐름에 편승할 뿐이다. 남의 에너지의 의존하므로 내시균형에 몰리는 것이다. 시스템은 여럿 투자하여 하나만 먹으면 되지만 개인은 한 번이라도 망하면 영원히 끝이기 때문이다.


    로마군과 한니발의 싸움을 비교할 수 있다. 로마군은 한 번만 이기면 되는데 한니발은 한 번도 지면 안 된다. 로마는 한 번 이겼는데 이겼고 한니발은 한 번 졌는데 졌다. 로마는 원로원 시스템이고 한니발은 카르타고와 연결이 끊어져서 고립된 개인이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91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879
1093 구조론은 언어다 1 김동렬 2019-10-21 3082
1092 유전자의 눈 김동렬 2021-11-14 3079
1091 진보는 에너지의 수렴이다 김동렬 2021-01-21 3078
1090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5분 정리 4 김동렬 2020-12-26 3078
1089 무능한 장군과 유능한 장군 image 김동렬 2022-10-26 3076
1088 1차대전의 참호전 1 김동렬 2022-01-22 3075
1087 인상주의 혁명 김동렬 2021-02-07 3075
1086 구조론적 행동주의 김동렬 2022-01-09 3072
1085 구조론 입문 해설 김동렬 2020-10-29 3072
1084 사건이 사물에 앞선다 김동렬 2021-10-24 3071
1083 자기소개의 문제 1 김동렬 2019-06-18 3071
1082 상호작용론 1 김동렬 2021-10-18 3070
1081 조국돌풍의 이유 1 김동렬 2024-03-25 3069
1080 하루에 1초만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1-09-13 3069
1079 사냥꾼의 관점 김동렬 2023-07-06 3068
1078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1-11-17 3068
1077 생각은 도구를 쓴다. 1 김동렬 2019-11-26 3068
» 독고다이 윤석열 김동렬 2023-04-10 3064
1075 엘리트의 생존법 김동렬 2022-09-28 3062
1074 전두환은 대통령 된 적이 없다 김동렬 2021-11-24 3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