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412 vote 0 2023.04.08 (22:00:04)

    구조는 대칭이다. 대칭은 다섯이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그것이다. 다섯 가지 대칭이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구조론은 세상을 정지해 있는 사물이 아니라 움직이는 사건으로 본다. 존재를 정靜이 아니라 동動으로 보는 관점이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가 있다. 구조론은 원인측 사정에 주목한다. 우리가 아는 사물의 관점은 결과측 사정에 매몰된다. 


    원인을 봐야 원리를 알게 된다. 결과의 관찰로는 겉을 알 뿐 속을 알 수 없다. 그렇다는 사실을 알 뿐 왜 그런지 모른다.


    사물을 관찰해서는 설탕이 달고 소금이 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설탕이 왜 달고 소금이 왜 짠지는 알아낼 수 없다.


    물질은 결과만 보고 성질은 원인까지 본다. 물질은 하나를 보면 하나를 알게 되고 성질은 하나를 보면 열을 알게 된다. 


    하나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며 열 가지 색깔을 만든다. 원인은 하나가 열로 복제되지만 결과는 하나에 머물러 있다. 


    인류는 문명의 역사 1만 년 동안 결과측만 주목했다. 피상적 관찰에 그쳤을 뿐 의사결정하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했다.


    결정된 것을 관찰했을 뿐 결정하는 것을 보지 않았다. 결정은 내부의 구조에서 일어나는데 인간은 겉모습만 살폈다.


    원인은 의사결정이다. 모든 것의 모든 원인은 내부 의사결정구조다. 자연의 어떤 모습은 어떤 의사결정구조 때문이다.


    물은 왜 흐를까? 물의 의사결정구조가 그래서다. 빛은 왜 빛날까? 구조가 그래서다. 돌은 왜 무거울까? 구조가 그렇다. 


    일본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중국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저 사람은 왜 저런가? 언제나 답은 구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의 지정학적 구조는 눈에 보이지만 문화와 관습으로 존재하는 내부의 의사결정구조는 잘 보이지 않는다. 


    구조를 보려면 내부를 봐야 한다. 내부에는 대칭이 있다. 대칭은 축이 있다. 의사결정은 축의 이동에 의해 일어난다. 


    그전에 계가 있다. 계 안에서 축이 이동하여 하나의 대칭에서 또 다른 대칭으로 갈아타는 방향과 순서를 알면 다 안다. 


    시스템, 메커니즘, 스트럭쳐, 운동, 정보의 다섯 구조가 에너지를 경로를 조절하여 우주와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44 옳은 행동 김동렬 2024-12-02 4199
7143 구조론의 직관 10 김동렬 2024-12-01 6198
7142 차별인간 1 김동렬 2024-11-30 4340
7141 한동훈 자기애성 성격장애 image 김동렬 2024-11-29 4895
7140 사치품 행동 김동렬 2024-11-29 4536
7139 이재명과 한동훈의 차이 김동렬 2024-11-29 4566
7138 문가비의 행복 김동렬 2024-11-28 4714
7137 이재명과 인쟈기 1 김동렬 2024-11-27 4841
7136 자유의지와 결정론 2 김동렬 2024-11-27 4712
7135 한국인의 출산기피 김동렬 2024-11-26 4885
7134 이재명의 승리, 대중의 오판 김동렬 2024-11-26 4972
7133 카오스 삽질 김동렬 2024-11-26 4675
7132 문가비와 정우성 17 김동렬 2024-11-25 7254
7131 정우성의 실수 김동렬 2024-11-25 6735
7130 시작과 끝 김동렬 2024-11-24 4889
7129 미지와의 조우 김동렬 2024-11-23 6453
7128 망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 김동렬 2024-11-23 7177
7127 열린 진보의 원칙 김동렬 2024-11-22 7352
7126 구조와 원자 김동렬 2024-11-22 6115
7125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4-11-21 5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