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83 vote 0 2023.04.08 (22:00:04)

    구조는 대칭이다. 대칭은 다섯이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그것이다. 다섯 가지 대칭이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구조론은 세상을 정지해 있는 사물이 아니라 움직이는 사건으로 본다. 존재를 정靜이 아니라 동動으로 보는 관점이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가 있다. 구조론은 원인측 사정에 주목한다. 우리가 아는 사물의 관점은 결과측 사정에 매몰된다. 


    원인을 봐야 원리를 알게 된다. 결과의 관찰로는 겉을 알 뿐 속을 알 수 없다. 그렇다는 사실을 알 뿐 왜 그런지 모른다.


    사물을 관찰해서는 설탕이 달고 소금이 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설탕이 왜 달고 소금이 왜 짠지는 알아낼 수 없다.


    물질은 결과만 보고 성질은 원인까지 본다. 물질은 하나를 보면 하나를 알게 되고 성질은 하나를 보면 열을 알게 된다. 


    하나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며 열 가지 색깔을 만든다. 원인은 하나가 열로 복제되지만 결과는 하나에 머물러 있다. 


    인류는 문명의 역사 1만 년 동안 결과측만 주목했다. 피상적 관찰에 그쳤을 뿐 의사결정하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했다.


    결정된 것을 관찰했을 뿐 결정하는 것을 보지 않았다. 결정은 내부의 구조에서 일어나는데 인간은 겉모습만 살폈다.


    원인은 의사결정이다. 모든 것의 모든 원인은 내부 의사결정구조다. 자연의 어떤 모습은 어떤 의사결정구조 때문이다.


    물은 왜 흐를까? 물의 의사결정구조가 그래서다. 빛은 왜 빛날까? 구조가 그래서다. 돌은 왜 무거울까? 구조가 그렇다. 


    일본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중국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저 사람은 왜 저런가? 언제나 답은 구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의 지정학적 구조는 눈에 보이지만 문화와 관습으로 존재하는 내부의 의사결정구조는 잘 보이지 않는다. 


    구조를 보려면 내부를 봐야 한다. 내부에는 대칭이 있다. 대칭은 축이 있다. 의사결정은 축의 이동에 의해 일어난다. 


    그전에 계가 있다. 계 안에서 축이 이동하여 하나의 대칭에서 또 다른 대칭으로 갈아타는 방향과 순서를 알면 다 안다. 


    시스템, 메커니즘, 스트럭쳐, 운동, 정보의 다섯 구조가 에너지를 경로를 조절하여 우주와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147
6866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946
6865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436
6864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581
6863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463
6862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390
6861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801
6860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344
6859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999
6858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868
6857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073
6856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532
6855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389
6854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275
6853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108
6852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575
6851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190
6850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230
6849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192
6848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302
6847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