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56 vote 0 2023.04.08 (22:00:04)

    구조는 대칭이다. 대칭은 다섯이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그것이다. 다섯 가지 대칭이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구조론은 세상을 정지해 있는 사물이 아니라 움직이는 사건으로 본다. 존재를 정靜이 아니라 동動으로 보는 관점이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가 있다. 구조론은 원인측 사정에 주목한다. 우리가 아는 사물의 관점은 결과측 사정에 매몰된다. 


    원인을 봐야 원리를 알게 된다. 결과의 관찰로는 겉을 알 뿐 속을 알 수 없다. 그렇다는 사실을 알 뿐 왜 그런지 모른다.


    사물을 관찰해서는 설탕이 달고 소금이 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설탕이 왜 달고 소금이 왜 짠지는 알아낼 수 없다.


    물질은 결과만 보고 성질은 원인까지 본다. 물질은 하나를 보면 하나를 알게 되고 성질은 하나를 보면 열을 알게 된다. 


    하나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며 열 가지 색깔을 만든다. 원인은 하나가 열로 복제되지만 결과는 하나에 머물러 있다. 


    인류는 문명의 역사 1만 년 동안 결과측만 주목했다. 피상적 관찰에 그쳤을 뿐 의사결정하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했다.


    결정된 것을 관찰했을 뿐 결정하는 것을 보지 않았다. 결정은 내부의 구조에서 일어나는데 인간은 겉모습만 살폈다.


    원인은 의사결정이다. 모든 것의 모든 원인은 내부 의사결정구조다. 자연의 어떤 모습은 어떤 의사결정구조 때문이다.


    물은 왜 흐를까? 물의 의사결정구조가 그래서다. 빛은 왜 빛날까? 구조가 그래서다. 돌은 왜 무거울까? 구조가 그렇다. 


    일본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중국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저 사람은 왜 저런가? 언제나 답은 구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의 지정학적 구조는 눈에 보이지만 문화와 관습으로 존재하는 내부의 의사결정구조는 잘 보이지 않는다. 


    구조를 보려면 내부를 봐야 한다. 내부에는 대칭이 있다. 대칭은 축이 있다. 의사결정은 축의 이동에 의해 일어난다. 


    그전에 계가 있다. 계 안에서 축이 이동하여 하나의 대칭에서 또 다른 대칭으로 갈아타는 방향과 순서를 알면 다 안다. 


    시스템, 메커니즘, 스트럭쳐, 운동, 정보의 다섯 구조가 에너지를 경로를 조절하여 우주와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20 3의 발견 김동렬 2022-07-15 2402
619 플라톤의 동굴 image 1 김동렬 2022-06-18 2402
618 예수의 의미 김동렬 2023-12-26 2401
617 밸런스의 힘 김동렬 2023-07-09 2401
616 신데렐라 이야기 1 김동렬 2022-12-21 2399
615 검수완박 대환영 윤석열 1 김동렬 2022-04-20 2399
614 삼국지 인물론 김동렬 2023-11-01 2397
613 원삼국의 문제 김동렬 2021-12-11 2396
612 조선일보와 윤석열의 막장극 김동렬 2024-02-14 2395
611 제주도사람과 호남사람 김동렬 2023-02-26 2395
610 구조론의 출발점 2 김동렬 2022-12-19 2393
609 무속인 쿠데타 빨갱이 김동렬 2023-10-31 2392
608 한국인의 지적 허영심과 오펜하이머 김동렬 2023-08-18 2390
607 인간의 길(업데이트) 김동렬 2022-02-16 2389
606 인류문명의 맹점 김동렬 2022-02-07 2389
605 초심자를 위한 구조론 김동렬 2022-05-19 2387
604 변화를 보는 눈 김동렬 2023-11-01 2385
603 영혼의 의미 김동렬 2023-10-25 2384
602 신의 입장 김동렬 2023-05-08 2381
601 나라 망했다 유시민 3 김동렬 2023-08-11 2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