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99 vote 0 2023.03.31 (11:30:57)

    구조론은 단위를 재는 수학이다. 


    수학은 수를 사용하고 구조학은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 개의 단위를 사용한다.


    수학은 어떤 둘을 연결한다. 구조는 둘 사이에서 결정한다.


    수학은 원인측 변화 사이에서 결과측의 정지해 있는 값을 구한다. 구조학은 반대로 원인측의 움직임을 구한다.


    수학은 둘이 만나서 이루어지는 하나를 찾고 구조학은 만나서 하나를 이루는 둘을 찾는다.


    수학은 좌표의 X축과 Y축 사이에서 P를 구한다. 6과 6 사이에서 36을 구한다. 구조학은 36을 가지고 대칭을 추적하여 6과 6을 구한다.


    과학은 인간과 직접 연결된다. 수학은 인간과 상관없이 객체 자체에 내재한 질서를 따르지만 관찰자가 있으므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구조론은 순수하게 객체 자체의 내재적인 질서를 따른다.


    물리학은 인간이 개입하여 물질을 쪼갠다. 수학은 물질을 쪼개지 않고 밖에서 자로 잰다. 그 과정에 물질과 접촉한다. 구조학은 대칭을 고리로 객체 내부의 원인에 의한 자발적 변화를 추적한다.


    수학은 밖의 크기를 재고 구조학은 안의 단위를 잰다.


    수학은 관찰자 입장을 따라 변화의 결과측을 해석하고 구조학은 객체 자체의 논리를 따라 변화의 원인측을 해석한다.


    수학은 자연과 인간의 만남이 원인을 이루고 값이라는 결과를 얻는다. 구조학은 인간과 상관없이 객체 내부의 자체적인 만남을 추적한다.


    지식은 존재와 인식과 생각이 있다. 존재는 인간과 상관없이 존재한다. 인식은 인간이라는 스크린에 비춰진 존재의 그림자다. 생각은 그림자를 해석한다.


    인식은 분해와 조립과 작동이다. 자연의 존재를 분해하여 인간의 뇌 안에서 재구성하는 것이 조립이다. 작동은 에너지를 투입하여 변화를 끌어낸다.


    존재는 분해되고, 인식은 조립되고, 생각은 작동된다. 그것은 다른 것이다. 분해와 조립과 작동을 모두 갖추어야 지식은 완성된다. 과학은 존재를 분해하고 수학은 인식을 조립하고 구조학이 생각을 작동한다.


    과학과 수학이 사물에 대한 접근이라면 구조학은 사건에 대한 접근이다. 사물은 분해되어 죽은 것이고 사건은 살아서 작동하는 것이다. 사물에 에너지를 태우면 사건이 된다. 


    사물은 방대하지만 사건은 숫자가 많지 않다. 죽는 길과 사는 길 중에서 사는 길만 선택하기 때문이다. 불이 옮겨붙는 길과 불이 꺼지는 길 중에서 불이 옮겨붙는 길만 선택하면 갈수록 선택지가 좁아진다. 서너 번 구조의 체로 걸러버리면 남는게 없다. 결국 모두 한곳으로 모이게 된다. 등산객은 산의 정상으로 모이고 물은 바다로 모인다.


    최종적으로 남는 것은 할 수 있는 것을 한다는 것이다. 다른 모든 길은 봉쇄되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구조에 떠밀린다. 구조에 휩쓸린다. 구조에 빠진다. 코너에 몰린다. 그냥 할 수 있는 것을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887
6346 생각의 출발 김동렬 2023-06-08 2947
6345 만유척력 김동렬 2023-06-08 3891
6344 사이코패스의 특징 김동렬 2023-06-07 4033
6343 즐기는 한동훈, 동성애 혐오, 호모 날레디 김동렬 2023-06-06 3628
6342 길 힘 법 김동렬 2023-06-06 4042
6341 어떻게 살 것인가? 김동렬 2023-06-06 3581
6340 국가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6-05 4270
6339 인류는 생각할 줄 모른다 김동렬 2023-06-04 3234
6338 사랑은 거짓말이다 김동렬 2023-06-03 4045
6337 거짓말과 폭력 김동렬 2023-06-01 3651
6336 결정자와 전달자 김동렬 2023-06-01 3132
6335 이기는게 원인이다 김동렬 2023-05-31 3736
6334 섹스와 흥분 김동렬 2023-05-31 3974
6333 사자와 원숭이의 영아살해 2 김동렬 2023-05-30 3285
6332 더러워서 피하는 전여옥 김동렬 2023-05-30 3884
6331 공유의 깨달음 김동렬 2023-05-29 4280
6330 깨달음의 의미 김동렬 2023-05-28 3734
6329 부처님 오신날 김동렬 2023-05-27 3495
6328 힘이 모든 것이다 김동렬 2023-05-26 3385
6327 만악의 근원 엘리트 우월주의 1 김동렬 2023-05-26 3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