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15 vote 0 2023.03.28 (17:27:44)

    김석원은 일본군 대좌 출신의 친일파지만 백범 김구는 그의 손을 잡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이승만은 평화선을 긋고 일본 어선을 나포하며 강력한 반일정책을 취하면서도 친일파를 기용했다. 궁중의 내시와 같다. 그들은 거세된 존재다. 약점을 쥐었다고 믿은 거다.


    친일파쯤이야 언제든지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지. 그러다가 당한 거. 월남한 서북청년단도 믿을 수 있다. 그들은 남쪽에 세력 기반이 없다. 이승만이 이북 출신을 중용한 이유다. 이북 출신 중용이 박정희가 숙군사업을 내세워 쿠데타를 일으키는데 빌미가 되었다.


    박정희 역시 숙군대상으로 찍혀 있었기 때문에 군부가 박정희를 만만히 보다가 당한 것이다. 극우 쿠데타 세력이 군부 내 좌파 세력을 적출한다는 구실로 6월에 쿠데타를 할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돌았기 때문에 박정희가 선수를 쳐서 5월에 쿠데타를 감행한 것이다.


    오스만의 예니체리를 중용, 이집트의 맘루크 우대와 같다. 공통점은 모두 배반했다는 사실이다. 꼼수정치를 하다가 자기 발등을 찍는다. 흥선대원군이 세력이 약한 민씨 가문에서 왕비를 골랐다가 뒤통수를 맞은 것과 같다. 로마 근위대나 고려 무신정치도 마찬가지.


    고려는 문벌귀족이 쥐고 있는데 하급무사들이 뭐 어쩌겠냐고 하고 만만히 봤다가 뒤치기를 당한 것. 명나라의 환관정치도 같다.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려고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붕괴시켜 예비자원 고갈로 망하는 공식. 박근혜는 채동욱의 약점을 잡고 임명한다.


    문재인은 윤석열의 약점을 잡지 않았다가 당했다. 노무현을 지지한 사람의 반은 노무현의 약점을 보고 지지한 거짓 지지다. 그들은 당선증 잉크도 마르기 전에 배반했다. 이찍표 찍은 중에 반은 윤석열을 만만하게 보고 제까짓게 뭘 어쩌겠냐 하고 찍은 똥파리 표다.


    다들 정공법으로 가지 않고 편하게 외주를 주려고 한다. 국힘당은 이준석 일베충 기르다가 망한다. 외부에 용병을 키우면 반드시 망한다. 인간은 의사결정을 회피하고 편하게 가려고 한다. 기초를 쌓아 내실을 다지지 않고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을 하면 망하는 코스다.


    역사에 공짜는 없고 청구서는 반드시 날아온다. 지금 한국은 거세된 자들 천지다. 북한에서 월남한 극우 목사들이 대표적이다. 인맥이 없다고 한탄하는 이공계 박사들 심리도 비슷하다. 그들이 로마 근위대가 되고 고려의 무신이 되어 나라를 털어먹고 있는 중이다. 


    악순환은 끝없이 반복된다. 인간들은 백 년 후에도 이럴 것이다. 바닥이 좁을수록 그런 수법이 먹히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보기 좋게 망하는 것이다. 축구판이나 야구판도 그런 식으로 외주를 주려는 심리가 만연해 있다. 축빠일수록 야빠일수록 그 경향이 심하다. 


    정당정치 시스템 안에서 후계자를 키울 수 없는 거세된 자들이 나라를 망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69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6763
6402 낳음 김동렬 2023-07-18 2581
6401 현대차가 도요타를 제치는가? 김동렬 2023-07-18 2754
6400 윤석열의 점령군 정치 김동렬 2023-07-17 2532
6399 하나가 더 있다 김동렬 2023-07-17 2165
6398 충청도 죽이기 김동렬 2023-07-16 2517
6397 완전성의 세계관 김동렬 2023-07-15 2290
6396 교권붕괴가 학교폭력 원인이다 1 김동렬 2023-07-14 3466
6395 궁예와 견훤의 진실 김동렬 2023-07-14 2410
6394 마크 저커버그 승 일론 머스크 패 김동렬 2023-07-13 2615
6393 부름과 응답 김동렬 2023-07-13 2532
6392 진보의 본질은 지정학이다 김동렬 2023-07-12 4082
6391 명령 김동렬 2023-07-11 3173
6390 단위 김동렬 2023-07-11 2994
6389 유시민이 똑똑해졌다 김동렬 2023-07-10 4020
6388 전율하라 김동렬 2023-07-09 3834
6387 차별본능의 극복 김동렬 2023-07-09 2890
6386 밸런스의 힘 김동렬 2023-07-09 2539
6385 구조 속의 구조 김동렬 2023-07-08 2428
6384 구조가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3-07-07 3469
6383 구조는 왜 다섯인가? 김동렬 2023-07-06 3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