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영돈 PD도 처음에는 좋게 시작했다. 알량한 미디어 권력을 손에 쥐더니 점차 흑화되었다. 서경덕도 비슷하게 진중권 코스를 타고 있다. 지금은 한류의 발목을 잡을 정도가 되었다. 환빠짓으로는 문화대국 될 수 없다. 문화는 공짜로 퍼주는 것이 최고의 전략이다. 


    네이버도, 다음도, 구글도, 처음에는 공짜로 퍼주며 시작하지 않았던가? 이집트는 수메르 문화를 훔치고, 그리스는 이집트 문화를 훔치고, 로마는 그리스 문화를 훔치고, 유럽은 로마문화를 훔치고, 일본은 유럽문화를 훔쳤다. 한국은 무수히 일본 문화를 훔쳐왔다. 


    이제 중국이 한국문화를 훔칠 차례가 된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자부심을 느껴야 한다. 그것은 부정할 수 없는 역사와 문명의 도도한 흐름이다. 우리 것이 최고야 하는 식의 소아병적 문화 쇄국주의는 최악의 반문화적 반달리즘이다. 서경덕은 인류의 적이 되고 있다. 


    한국은 일본 문화를 안 훔쳤나? 다 알듯이 태권도는 가라데를 베낀 것이다. 한국인이 기모노 입고 뉴욕에서 초밥집을 하고 있다. 문선명이 시작한 사업이다. 한국의 유교는 중국문화를 훔친 것인가? 기독교는 유태인 문화를 훔치고? 불교는 인도문화를 훔친 것이고? 


    문화를 가지고 국적을 따지는 것은 졸렬한 짓이다. 따지고 보면 모든 문화의 총본산은 인도다. 제우스, 쥬피터, 데우스는 인도의 데바 신앙이 그리스, 로마로 흘러간 것이다. 미륵으로 알려진 미트라 신앙도 같다. 수메르인은 인도의 드라비다족과 같다는 설이 있다. 


    해안가를 따라 수메르 지방에서 이란의 엘람인을 거쳐 인도의 드라비다로 연결된다. 인도에서 유럽으로 수출된 것이 아니라 드라비다인이 원래 수메르 지방에서 펀잡지방까지 해안가에 자리 잡고 살며 교류했다. 한국인이 양복을 입으면 영국문화를 훔치는 짓인가? 


    문화가 처음 전파될 때는 헷갈리지만 결국에는 오리지날을 알게 된다. 수출국이 권위를 가지게 된다. 그것은 문화의 속성이다. 중국이 한국 것을 베낄수록 한국이 이득이다. 단기적으로는 저작권 문제가 걸려 있지만 말이다. K팝도 흑인의 힙합을 해먹은 것 아닌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44 옳은 행동 김동렬 2024-12-02 4199
7143 구조론의 직관 10 김동렬 2024-12-01 6198
7142 차별인간 1 김동렬 2024-11-30 4340
7141 한동훈 자기애성 성격장애 image 김동렬 2024-11-29 4895
7140 사치품 행동 김동렬 2024-11-29 4536
7139 이재명과 한동훈의 차이 김동렬 2024-11-29 4566
7138 문가비의 행복 김동렬 2024-11-28 4714
7137 이재명과 인쟈기 1 김동렬 2024-11-27 4841
7136 자유의지와 결정론 2 김동렬 2024-11-27 4712
7135 한국인의 출산기피 김동렬 2024-11-26 4885
7134 이재명의 승리, 대중의 오판 김동렬 2024-11-26 4972
7133 카오스 삽질 김동렬 2024-11-26 4675
7132 문가비와 정우성 17 김동렬 2024-11-25 7254
7131 정우성의 실수 김동렬 2024-11-25 6736
7130 시작과 끝 김동렬 2024-11-24 4890
7129 미지와의 조우 김동렬 2024-11-23 6453
7128 망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 김동렬 2024-11-23 7177
7127 열린 진보의 원칙 김동렬 2024-11-22 7352
7126 구조와 원자 김동렬 2024-11-22 6115
7125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4-11-21 5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