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03 vote 0 2023.03.26 (12:28:19)

    이념은 발명되는 것이 아니라 발견되는 것이다. 그 길밖에 길이 없다. 다른 모든 길은 봉쇄되어 있다. 인간에 의해 자의적으로 선택되는 이념은 가짜다. 인간이 긍지를 가지고 양심을 지키면 선택지는 극도로 좁아진다.


    지금 한국은 전방위로 답이 없다. 보수와 진보의 대립을 넘어 더 큰 세계로 가야 한다. 상대성을 넘어 절대성의 세계로 가야 한다. 진보와 보수는 상대적인 속도조절 문제다. 진보가 속도를 높이면 좁아진다. 보수가 저변을 넓히면 개혁의 속도가 느려진다.


    지금 한국은 북중미일에 어떻게 대응하느냐 하는 외교 문제로 진보와 보수가 갈리고 있다. 이상하다. 왜 친일과 반일, 친미와 반미가 이념이 되었는가? 이웃 나라와 친하게 지내는 게 외교의 기본이다. 지정학적 이유로 판이 이상하게 짜여져서 본질에서 진보와 상관없는 것이 진보로 포장된다. 이게 다 전쟁 때문이다. 인간이 다른 모든 수단을 잃고 막판에 몰리면 전쟁을 한다. 사태가 그 지경이 되었다면 그것은 감당할 수 없는 물리의 영역이다. 한반도가 하필이면 미일중러 4대 강국 사이에 끼어서 냉전의 교두보가 된 것은 재수가 없었던 거다. 그것은 불가항력적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씌워진 굴레일 뿐 우리가 추구하는 이념이 아니다.


    소도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는다고 했다. 구조론은 그냥 할 수 있는 것을 한다는 견해다. 한반도를 떼어서 유럽 어디에 갖다 놓으면 좋겠지만 그것은 불가능하다. 현실적으로 우리가 컨트롤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어려울수록 원칙으로 돌아가야 한다. 우리는 과학으로 주술을 이기고, 문명으로 야만을 이기고, 지성으로 무지를 이겨야 한다. 그것이 이념이다. 과학과 문명과 지성은 절대성의 영역이다. 애초에 게임의 룰을 정하는 문제다. 진보와 보수는 게임의 진행 과정에 일어난 밸런스 조절의 문제다. 진보와 보수는 지적, 물적 생산력의 변화에 맞게 대응하면 된다. 새로운 미디어가 도입되면 진보가 힘을 얻는다. 신문과 라디오와 인터넷이 큰 역할을 했다. 라이플이 발명되자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소총이 보급되자 프랑스에서 혁명이 일어났다. 지식이 보급되자 한국에서 민주화가 성공했다. 진보는 그러한 환경변화를 따라가면 된다.


    우리는 막연히 도덕을 논하고, 옳고 그름을 논하며 다양한 선택지가 주어져 있다고 믿지만 착각이다. 최종적으로는 물리가 답을 낸다. 공간에 갇히고 시간에 쫓기면 선택지가 없다. 많은 것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하필 지금, 하필 여기서, 하필 내가, 하필 그것을 해야 하는지로 범위를 좁히면 선택지가 없다. 언제나 궁지에 몰려 있다. 그럴 때 할 수 있는 것은 아무도 하지 않은 것이다.


    인류의 약한 고리가 있다. 그것은 생각하는 방법이다. 인간은 상호작용에 능할 뿐 생각하는데 약하다. 서로 자극하고 반응하다가 몰리게 된다. 집단의 에너지 흐름에 말려들어 위태롭게 된다. 생각을 잘하면 이길 수 있다. 남들은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한국은 남이 벌여놓은 판에 뛰어들어 남이 해놓은 것을 마침표만 찍겠다는 식의 요령과 꼼수로 여기까지 왔다. 미국의 시장에 기대고 일본의 기술을 훔치면서 남의 것을 빌어먹다 보니 기초를 건너뛰게 되어 남이 받쳐주지를 않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남이 다 만들어 놓으면 판매는 할 자신이 있다는 김우중, 남이 개발해 놓으면 생산은 할 자신이 있다는 이건희, 남보다 더 빨리 할 수 있다는 정주영이 그러하다. 문제는 중국이 더 잘한다는 점이다. 일본이 하면 한국도 하고 한국이 하면 중국도 해낸다. 한국이 하지 않는 소부장을 일본이 하듯이 한국은 중국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해야 한다. 중국은 독재와 획일로 가므로 한류는 그 반대로 가야 한다. 요령과 꼼수와 잔머리는 후진국의 따라잡기다. 인류가 하지 않는 것을 우리가 해야 한다.


    선진국 지위에 머무르려면 남들보다 앞서가는 것이 있어야 한다. 기술로는 안 되어도 생각은 앞서갈 수 있다. 서구는 기독교의 사슬을 끊지 못하고, 중국은 도교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일본은 섬나라의 한계를 버리지 못한다. 오직 생각의 열려있음에서만 우리가 모두 이길 수 있다. 서경덕의 문화 쇄국주의가 시끄럽다. 닫아거는 기술로는 만리장성의 중국을 이길 수 없다. 일본섬은 원초적으로 닫혀 있다. 우리는 오직 열려있음으로 닫혀있음을 이길 수 있다.


    문화강국이 되려면 많은 것을 공짜로 퍼줘야 한다. 일본이 한국 독자들이 애니메이션을 못 보도록 막았던가? 뒷구멍으로 일본 망가나 훔쳐보면서 말이다. 우리는 지리적으로 사방이 닫혀 있으므로 열 수밖에 없다. 그 외에는 길이 없다. 알아야 한다. 지정학적인 이유로 우리가 언제나 막다른 코너에 몰려 있다는 사실을. 닫힌 문을 여는 결정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생각을 먼저 열어야 한다. 우리에게는 문명과 과학과 지성 외에 그 어떤 길도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53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674
1826 진보의 전략과 보수의 전술 김동렬 2020-12-02 3451
1825 박근혜와 문재인 5 김동렬 2020-12-03 4171
1824 변하지 않는 것은 관계다 2 김동렬 2020-12-03 3410
1823 하남 위례성의 비극 image 1 김동렬 2020-12-04 4305
1822 전략의 기본 1 김동렬 2020-12-04 3820
1821 전략론 1 김동렬 2020-12-05 3051
1820 향원을 토벌하라 김동렬 2020-12-06 3055
1819 전략균형론 1 김동렬 2020-12-06 3212
1818 국힘당이 사과할 이유는 없다 김동렬 2020-12-07 3465
1817 의리 없는 홍정욱 image 5 김동렬 2020-12-08 3679
1816 사색문제의 접근 image 4 김동렬 2020-12-08 3292
1815 대화와 타협은 원래 안 된다 김동렬 2020-12-08 3621
1814 사색문제의 이해 image 김동렬 2020-12-09 5081
1813 사색정리 결산 김동렬 2020-12-09 2621
1812 사색문제와 차원 김동렬 2020-12-09 2693
1811 김종인의 사과놀이 실패 김동렬 2020-12-10 3074
1810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577
1809 공수처가 부메랑이 된다 김동렬 2020-12-11 3884
1808 누가 신을 결박하는가? 1 김동렬 2020-12-11 3622
1807 김기덕, 어떤 천재의 최후 김동렬 2020-12-12 4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