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5654 vote 0 2023.03.18 (11:27:20)




https://youtu.be/eNmzWRwJ-SI


우연히 유튜브에 떠서 봤는데 재밌네요.

구조론적 관점으로 보면 더 재밌을거 같습니다. 


  •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DNA를 변화시킨다 vs 아니다.
  • 어떤 사람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1만년 후에 쌍둥이로 복제가 가능하다 vs 안된다.
  • 유기체의 사회적 선택
  • 코로나 면역반응이 후세에 전달되는 메카니즘
  • 라마르크가 돌아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3.03.18 (19:44:25)

내용이 길어서 안 봤는데 

구조론을 배우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습니다.

이건 제가 자연선택을 비판하려고 옛날부터 주장한 거. 

그런데 구조론으로 보면 유전자는 입자입니다.

노블 교수의 유기체가 정확히 뭘 뜻하는지 모르겠는데 아마 유기농 장사를 하려는듯.

유기체는 의미가 모호하므로 

유전자가 입자인데 비해 구조론의 질 포지션을 커버하고 싶은 것으로 추측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말하는 원인은 입자입니다.

핀셋으로 찝을 수 있는 입자는 유전자입니다.

유기체라는 말은 체가 붙었으니까 입자에 해당되는데

후성유전 어쩌고 하는거 보니

입자가 아니라 질 곧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의미하고 싶은듯


결론..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다.

유전자는 입자이므로 그 이전의 질 개념을 말하고 싶으면 

상호작용으로 말해야지 입자를 찍으면 안 된다.

입자를 찍어서 말하며 질 개념을 반영하면 그게 한의학의 기 비슷하게 된다.

포스의 힘으로 진화했다고 말하면 피곤하다.


구조론은 유전자 안에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고 봅니다.

맞는 생태적 지위를 찾아낼때까지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다윈생각.. 우연히 변이 중에 하나가 살아남는다.

구조생각..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가 일어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51
2030 조선8도 지역정서 지여 2011-02-26 7747
2029 의식이란 무엇인가? image 8 김동렬 2013-11-18 7746
2028 즐거움이 없는 베품이랄까? 3 프로메테우스 2006-02-27 7746
2027 복잡한 인간. 4 아제 2010-08-16 7694
2026 사금 캐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3-11-28 7692
2025 여자가 오래 사는 이유 3 김동렬 2010-10-26 7644
2024 태초의 비밀. 아제 2010-08-07 7644
2023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551
2022 질문 - 이 사람의 잘못은? image 16 김동렬 2013-07-03 7547
2021 엄지손가락 1 양을 쫓는 모험 2009-11-17 7546
2020 대칭에 의한 비대칭의 예 image 2 김동렬 2013-06-24 7513
2019 진.선.미.주.성에 대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7 아란도 2010-08-03 7494
2018 대중의 한계와 인터넷 2 송파노을 2006-02-27 7480
2017 저장강박증? image 1 김동렬 2011-09-02 7467
2016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image 33 김동렬 2014-01-15 7465
2015 인류의 기원 김동렬 2013-05-15 7458
2014 진화와 인간.. 아제 2010-08-31 7439
2013 원인과 결과 그리고 판단. image 3 아란도 2010-08-10 7430
2012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11
2011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