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5633 vote 0 2023.03.18 (11:27:20)




https://youtu.be/eNmzWRwJ-SI


우연히 유튜브에 떠서 봤는데 재밌네요.

구조론적 관점으로 보면 더 재밌을거 같습니다. 


  •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DNA를 변화시킨다 vs 아니다.
  • 어떤 사람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1만년 후에 쌍둥이로 복제가 가능하다 vs 안된다.
  • 유기체의 사회적 선택
  • 코로나 면역반응이 후세에 전달되는 메카니즘
  • 라마르크가 돌아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3.03.18 (19:44:25)

내용이 길어서 안 봤는데 

구조론을 배우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습니다.

이건 제가 자연선택을 비판하려고 옛날부터 주장한 거. 

그런데 구조론으로 보면 유전자는 입자입니다.

노블 교수의 유기체가 정확히 뭘 뜻하는지 모르겠는데 아마 유기농 장사를 하려는듯.

유기체는 의미가 모호하므로 

유전자가 입자인데 비해 구조론의 질 포지션을 커버하고 싶은 것으로 추측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말하는 원인은 입자입니다.

핀셋으로 찝을 수 있는 입자는 유전자입니다.

유기체라는 말은 체가 붙었으니까 입자에 해당되는데

후성유전 어쩌고 하는거 보니

입자가 아니라 질 곧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의미하고 싶은듯


결론..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다.

유전자는 입자이므로 그 이전의 질 개념을 말하고 싶으면 

상호작용으로 말해야지 입자를 찍으면 안 된다.

입자를 찍어서 말하며 질 개념을 반영하면 그게 한의학의 기 비슷하게 된다.

포스의 힘으로 진화했다고 말하면 피곤하다.


구조론은 유전자 안에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고 봅니다.

맞는 생태적 지위를 찾아낼때까지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다윈생각.. 우연히 변이 중에 하나가 살아남는다.

구조생각..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가 일어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62
106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569
105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580
104 범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3 김동렬 2014-03-18 8595
103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600
102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616
101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649
100 마루치 아라치의 기원 2 김동렬 2011-02-14 8656
99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701
98 아해 오감도 이상 image 1 김동렬 2014-04-28 8711
97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749
96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755
95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785
94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804
93 올해 북극 빙하는 줄었나 늘었나? image 김동렬 2014-10-20 8908
92 동렬님께... 3 kkh 2006-01-24 8917
91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8918
90 부(富)의 비교 -구조론적 관점- 5 오세 2010-09-10 8951
89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8973
88 화투의 밸런스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9004
87 조선의 젖가슴 image 4 김동렬 2015-01-12 9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