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59 vote 0 2023.03.17 (09:48:00)

      
   


    언어를 모르면 말할 수 없고
    숫자를 모르면 셈할 수 없고
    구조를 모르면 생각할 수 없다.


    지도가 있어야 길을 찾을 수 있고
    연장이 있어야 집을 지을 수 있고
    구조를 알아야 제대로 생각할 수 있다.


    남이 가졌는데 내게 없으면 밟힌다.
    남이 구조를 아는데 내가 모르면 당한다.
    자신의 운명을 남의 손에 맡기는 셈이 된다.


    구조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다.
    맞물린 지점에서 하나가 둘을 결정한다.
    존재의 자발적인 의사결정은 거기서 일어난다.
    다른 것은 결정된 것을 전달할 뿐 결정하지 않는다.


    구조를 모르면 맞물려 돌아가는 지점을 놓친다.
    이것을 해결하고 방심하다가 저것의 되치기에 당한다.
    언제나 인간의 의도와 반대로 되는 것이 구조의 역설이다.


    숫자는 10개지만 구조는 다섯뿐이다.
    세상은 다섯 가지 대칭이 맞물려 돌아간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대칭이 축에 의해 조절된다.


    내부를 보려면 형태를 깨야 한다.
    형태를 깨면 내부의 맞물림이 사라진다.
    대칭을 통해 형태를 깨지 않고 내부를 알 수 있다.
    집단 내부에서 작동하는 힘의 자발성을 조절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37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64
6506 인류의 첫 걸음마 김동렬 2023-01-28 2127
6505 보고 알고 깨닫고 쥐고 다루고 김동렬 2022-05-04 2129
6504 국민명령 윤한퇴출 김동렬 2024-04-10 2134
6503 소로스와 열린사회 김동렬 2022-05-25 2137
6502 지식의 타락이 위기의 본질 김동렬 2023-07-25 2137
6501 이념은 없다 김동렬 2023-03-03 2139
6500 게임의 초대 김동렬 2022-07-06 2144
6499 신의 형벌과 인간의 구원 김동렬 2023-08-02 2148
6498 관성의 법칙 김동렬 2022-05-10 2152
6497 카오스이론과 구조론 김동렬 2022-06-06 2153
6496 LK99 과학사기단 사건 전말 image 1 김동렬 2023-08-17 2153
6495 본질을 넘어 도구로 김동렬 2022-04-15 2155
6494 정수 김동렬 2022-10-16 2155
6493 구조론은 어렵고 쉽다 김동렬 2023-03-09 2158
» 구조를 알아야 한다 김동렬 2023-03-17 2159
6491 대화 김동렬 2022-10-15 2161
6490 원리와 프레임 김동렬 2022-12-14 2162
6489 개념미술이 사기인 이유 김동렬 2022-10-05 2163
6488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3-07-25 2163
6487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 3 김동렬 2023-02-14 2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