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09 vote 0 2023.02.01 (11:12:55)

    세상이 멸망하고 난 다음 인류의 모든 과학지식이 파괴된 상태에서 신이 살아남은 인류의 대표자에게 문명의 재건에 필요한 몇 가지 질문을 허용한다면 인류의 대표자로 나선 당신은 맨 먼저 무엇을 질문하겠는가? 그것은 가장 많은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모든 것의 근원에 대한 질문이어야 한다.


    인류의 첫 번째 질문은 '세상은 무엇으로 되어 있는가?'이어야 한다는 것이 이 물음에 대한 나의 자문자답이다. 인류는 이 소박한 물음에 철저하지 않았다. 구조론은 과거의 낡은 생각과 결별하게 하는 인류의 새로운 도전이다. 그것은 모든 것의 처음에 대한 사유다. 사유의 첫 단추를 끼우는 문제다.


    세상은 구조構造로 되어 있다. 구構는 목재를 우물 정井짜 모양으로 끼운 것이니 이는 공간의 얽힘이요, 조造의 부수는 '쉬엄쉬엄 갈 착辵'이니 이는 일을 시간에서 착착 진행한다는 뜻이다. 세상은 공간의 구構와 시간의 조造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의사결정이다. 세상은 의사결정구조의 집합이다.


    구조를 우리말로 옮기면 '꽉착'이 된다. 혹은 '꽉꽉착착'이나 '끼워끼워 차근차근'이라 하겠다. 그것은 어떤 일의 공간적 연결과 시간적 전달에 관한 것이다. 연결하고 전달하는 것은 탄생이다. 태초에 무엇이 있었던가? 탄생이 있었다. 탄생의 관문을 통과하지 않고 그냥 존재하는 것은 우주 안에 없다.


    인류는 이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대신 회피하는 꼼수논리를 만들었다. 원자론과 인과율이 그것이다. 원자의 쪼개지지 않는다는 설정은 '꿴다'는 의미의 구構와 반대가 된다. 분리가 없으니 결합도 없다. 인과율의 원인은 짓기 전이고 결과는 지은 다음이니 짓는 현재진행과정을 회피한다.


    인류는 교묘한 트릭으로 문제의 핵심을 피해버렸다. 21세기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사이비와 주술과 종교와 음모론과 괴력난신이 난무하는 이유다. 과학을 거짓말로 시작했기 때문에 각종 사이비의 거짓공세를 막을 방법이 없다. 최초의 백지상태에서 과학까지 가는 사유의 빌드업 과정이 사라졌다.


    인류는 권태, 냉소, 퇴폐, 염세가 만연했던 19세기의 세기말과 같은 집단 우울증에 걸려 버렸다. 양차 세계대전의 조짐과 맬서스 트랩의 공포 앞에서 지식인의 무기력함을 표현한 것이 세기말 사조다. 인류는 다시 위협받고 있다.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지경에 몰렸다. 이제는 정면승부를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3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39
6211 원자론에서 구조론으로 1 김동렬 2021-02-03 2606
6210 오은영 원리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3-07-21 2607
6209 협살에 걸렸다 김동렬 2023-09-11 2610
6208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1-06-27 2612
6207 철학 변화 간섭 기능 권력 김동렬 2022-10-27 2612
6206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것 김동렬 2022-02-18 2613
6205 삼단사고 2 김동렬 2022-11-14 2615
6204 밸런스의 힘 김동렬 2023-07-09 2615
6203 양질전화는 없다 김동렬 2021-12-07 2616
6202 인류의 진화 1 김동렬 2022-10-20 2616
6201 구조론 차원의 의미 김동렬 2020-04-09 2618
6200 계 체 각 선 점 김동렬 2020-12-16 2619
6199 갈릴레이의 빅 픽처 김동렬 2021-12-19 2620
6198 책상물림 지식인의 환상 김동렬 2022-03-27 2621
6197 사회적 자유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10 2623
6196 수수께끼 김동렬 2023-09-20 2623
6195 한동훈의 윤석열 사냥? 김동렬 2022-05-06 2626
6194 철학 김동렬 2022-10-26 2628
6193 여가부 유감 김동렬 2022-10-09 2631
6192 구조론은 자유론이다 김동렬 2021-01-12 2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