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2210 vote 0 2023.02.01 (03:31:18)

https://youtu.be/SqLsNhDLL-I


근데 변이의 랜덤성을 잘 말하다가 뜬금없이 돌연변이로 설명이 퇴화하다니. 무작위는 그 무작위가 아니고 돌연변이는 그 돌연변이가 아니라네. 도대체 인간 중에 랜덤을 이해하는 놈이 없다는 게 신기할뿐. 유튜버도 자신이 뭘 말하는지 잘 이해를 못 해. 그런데 자기도 모르게 진실을 말해버려.


복제본은 결코 원본과 똑같지 않다. 복제는 반드시 랜덤이 수반된다. 왜냐하면 복제과정에는 유전자가 통제할 수 없는 상호작용의 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건의 결과는 반드시 정규분포의 양상을 띤다. 랜덤이 그 랜덤이 아니다. 정규분포의 랜덤이다. 아무것도 알 수 없는 무작위가 어딨냐. 알 수 있는 것과 알 수 없는 것이 복합적인 무작위는 있다. 유전자는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최적의 개체를 산출한다. 존재의 반은 외부의 환경에 달려있는 것이다. 복제(정규분포)는 연속이나 진화는 불연속이다. 정규분포는 내부의 사정이고 진화는 환경과 합을 이루는 외부의 사정이기 때문이다. 진화는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정규분포와 통제할 수 없는 (유전자와 환경의)짝짓기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유전자도 환경을 선택하므로 결과적으로 환경과 유전자는 상호가속진화하게 된다. 하지만 가끔 진화가 정체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면? 그것은 더 윗단계의 진화가 또 있기 때문이다. 계 내부의 진화는 연속적으로 끊임없이 밸런스를 향해 달려가지만 그 한계는 계의 크기에 의해 정해져있고, 그럴 때 외부에서 보는 진화는 정체된 것처럼 보이며, 다시 계 외부에서 변화가 일어날 때 새로운 밸런스를 향해 환경과 유전자는 또한 상호가속진화 하게 된다. 진화는 결코 천천히 일어나지 않는다. 일단 일어나면 가속적이다. 진화는 결코 정체되지 않는다. 다만 그 크기가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을 정도로 미미할 수는 있다.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그래프가 S형 분포(정규분포의 누적 분포)이다. 코로나 확진자 그래프 말이다. 시작과 끝은 미미하나 중간은 창대한 바로 그 그래프. 티비에선 코로나 변이가 더 강력해진다니 뭐니 하면서 떠드는데, 변이는 절대로 더 강력해질 수 없다. 진화과정에서 변이는 반드시 물타기 되기 때문이다. 인간과 바이러스는 공진화 하며 변이의 횟수는 늘어나나 그 폭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 인간과 환경이 그랬듯이. 그리고 그 이전에 환경변화에 의해서 바이러스도 갑자기 튀어나온 걸로 보면 되고. 없던 일이 생기는 건 외부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SimplyRed

2023.02.01 (10:54:26)

복제 과정의 유전자가 통제할 수 없는 상호작용의 계는 후성유전학에서 규명하고 있는 복제 과정에서 DNA 스위치가 켜고 껴지는 메커니즘일 것 같습니다.  


컴퓨터는 0, 1은 비교적 명확하게 켜고, 꺼지지만, 자연상의 DNA 복제구조에서는 명확하게 켜고꺼짐보다는 DNA 메틸화, 히스톤의 아세틸화 등으로 조절장치와 그를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있고, 그에 따라 확률적으로 결정되는 것 같다고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56
2006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199
2005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544
2004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543
2003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074
2002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002
2001 구글, 오바마 효과? image 1 ░담 2010-01-15 4808
2000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547
1999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382
1998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53
1997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34
1996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44
1995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389
1994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394
1993 밸런스의 중요성. 3 오세 2010-01-31 4399
1992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4971
1991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1 김동렬 2010-02-01 4843
1990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845
1989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895
1988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684
1987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