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172 vote 0 2023.01.30 (19:34:56)


    황당한게 자연발생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생'이라는 개념이다. 그런데 발생이 뭐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이 번식한다면 쉽다. 발생이 뭐냐고? 그건 미생물에게 물어봐. 문제를 떠넘기면 된다. 그런데 자연발생설로 가면 발생론이라는 새로운 과학과 철학이 태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거야? 발생의 메커니즘이 뭐야? 이거 대박이다. 창조설 찜쪄먹고 진화론 압도하는 새로운 학문으로 발생학이 등장해 주시는 거다. 그런데 왜 아무도 자연발생설을 뒷받침하는 발생론을 논하지 않는가?


    언어가 과학에 앞선다는 말은 이런 의미다. 얼버무리기 없다. 인간들이 말을 애매하게 한다. AI 하는 사람들이 창발이라는 단어를 쓴다. 그런데 창발이 뭐지? 뜻을 알고 쓰는 사람은 없다. 비겁한 짓이다. 이런 것을 끝까지 물고 늘어져야 한다. 말을 똑바로 하라는 공자의 정명사상에서 배워야 한다.


    어떤 사람이 혼자 길을 간다면 지구와 대칭이다. 두 사람이 함께 간다면 옆사람과 대칭이다. 대칭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대칭이 자리를 바꿨다. 창발은 자리바꿈이다. 무에서 유가 출현한 것이 아니라 숨어 있던 것이 드러난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자리바꿈이고 방향전환이다.


    변화는 계를 중심으로 일어난다. 계 내부에 밸런스가 있다. 그것은 갑자기 개입한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서 창발이라는 말을 한다. 창발은 계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다가 뒤늦게 알아채는 것이다. 자연의 모든 변화는 밸런스의 재조립이다. 창발은 기존에 없던 다른 형태의 밸런스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생겨난 것이 아니라 복제된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밸런스의 격발에 의해 존재는 기능을 획득한다.


    격발 이전에 전달이 있다. 발생론을 쓰려면 먼저 전달론을 써야 한다. 전달은 대칭을 따라간다. 첫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이 발생이라면 두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은 발생한 기능의 전달이다. 도미노가 둘이면 전달과 발생이 구분된다. 창발은 전달과 발생의 구분이다. 불을 켜는 것이 발생이면 불이 옮겨붙는 것은 전달이다. 인류의 대부분의 착오가 발생과 전달을 헷갈린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24 일타강사 전한길 1 김동렬 2025-01-22 3349
7223 구조론 1 김동렬 2025-01-22 3553
7222 윤석열 대선보이콧 지령 김동렬 2025-01-22 3224
7221 비대칭의 힘 김동렬 2025-01-21 3417
7220 윤석열 최후의 발악 image 김동렬 2025-01-21 3702
7219 선과 악의 과학 3 김동렬 2025-01-20 3526
7218 악인의 재능발견 5 김동렬 2025-01-19 3884
7217 무당정권의 기원 1 김동렬 2025-01-19 2916
7216 윤석열 감옥공천 김동렬 2025-01-18 3124
7215 병맛 과학자들 2 김동렬 2025-01-17 3222
7214 윤석열 몰락법칙 김동렬 2025-01-16 3718
7213 지능의 기원 3 김동렬 2025-01-16 3079
7212 슬픈 한국 3 김동렬 2025-01-15 3592
7211 창의가 가장 쉽다 10 김동렬 2025-01-14 3586
7210 멍청한 것이냐, 미친 것이냐 김동렬 2025-01-14 3196
7209 위기의 민주주의 4 김동렬 2025-01-12 4498
7208 토벌군은 의연하게 김동렬 2025-01-12 3543
7207 방향론 김동렬 2025-01-11 3470
7206 다이나믹 진보 김동렬 2025-01-09 3686
7205 쿠데타세력 정리방법 김동렬 2025-01-08 4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