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25 vote 0 2023.01.30 (19:34:56)


    황당한게 자연발생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생'이라는 개념이다. 그런데 발생이 뭐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이 번식한다면 쉽다. 발생이 뭐냐고? 그건 미생물에게 물어봐. 문제를 떠넘기면 된다. 그런데 자연발생설로 가면 발생론이라는 새로운 과학과 철학이 태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거야? 발생의 메커니즘이 뭐야? 이거 대박이다. 창조설 찜쪄먹고 진화론 압도하는 새로운 학문으로 발생학이 등장해 주시는 거다. 그런데 왜 아무도 자연발생설을 뒷받침하는 발생론을 논하지 않는가?


    언어가 과학에 앞선다는 말은 이런 의미다. 얼버무리기 없다. 인간들이 말을 애매하게 한다. AI 하는 사람들이 창발이라는 단어를 쓴다. 그런데 창발이 뭐지? 뜻을 알고 쓰는 사람은 없다. 비겁한 짓이다. 이런 것을 끝까지 물고 늘어져야 한다. 말을 똑바로 하라는 공자의 정명사상에서 배워야 한다.


    어떤 사람이 혼자 길을 간다면 지구와 대칭이다. 두 사람이 함께 간다면 옆사람과 대칭이다. 대칭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대칭이 자리를 바꿨다. 창발은 자리바꿈이다. 무에서 유가 출현한 것이 아니라 숨어 있던 것이 드러난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자리바꿈이고 방향전환이다.


    변화는 계를 중심으로 일어난다. 계 내부에 밸런스가 있다. 그것은 갑자기 개입한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서 창발이라는 말을 한다. 창발은 계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다가 뒤늦게 알아채는 것이다. 자연의 모든 변화는 밸런스의 재조립이다. 창발은 기존에 없던 다른 형태의 밸런스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생겨난 것이 아니라 복제된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밸런스의 격발에 의해 존재는 기능을 획득한다.


    격발 이전에 전달이 있다. 발생론을 쓰려면 먼저 전달론을 써야 한다. 전달은 대칭을 따라간다. 첫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이 발생이라면 두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은 발생한 기능의 전달이다. 도미노가 둘이면 전달과 발생이 구분된다. 창발은 전달과 발생의 구분이다. 불을 켜는 것이 발생이면 불이 옮겨붙는 것은 전달이다. 인류의 대부분의 착오가 발생과 전달을 헷갈린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89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991
6264 노무현 투수 이제 4구 째다 아다리 2002-11-07 16087
6263 '여자 이재오' 전여옥의 변신. 스피릿. 2004-03-16 16084
6262 아이패드와 갤럭시탭 4 김동렬 2010-11-08 16083
6261 조선일보는 망하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03-02-06 16083
6260 몽구잡스 경영 김동렬 2010-09-08 16082
6259 정치는 뜻으로 하는 거지 논리로 하는 것이 아니다. 2005-08-01 16082
6258 세상에 말 걸기 김동렬 2006-08-20 16081
6257 Re.. 인정사정 볼것없다. 김동렬 2002-11-04 16079
6256 그런데... 노원구민 2002-12-11 16078
6255 인제가 자민련으로 간 이유는. 골골골 2002-12-03 16076
6254 혈액형과 성격 image 15 김동렬 2011-04-27 16075
6253 창을 열고 밖을 내다보라 3 김동렬 2010-02-04 16074
6252 하나로당원과 아줌마 @..@ 2002-12-04 16074
6251 중앙일보 인용 김동렬 2002-12-11 16073
6250 [Quiz] 다음 글은 어느 신문 사설일까요??? 2002-10-30 16073
6249 [오마이펌] 이회창이 행정수도이전을 약속했다면... 키쿠 2002-12-14 16072
6248 - 이번 선거 반드시 이겨야 한다. - 김동렬 2002-12-03 16072
6247 영화감독 정지영 - 내가 盧후보를 지지하는 이유 손&발 2002-11-29 16072
6246 구조차원 개념 image 3 김동렬 2009-09-29 16069
6245 관계를 깨닫기 김동렬 2009-09-11 16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