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42 vote 0 2023.01.30 (19:34:56)


    황당한게 자연발생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생'이라는 개념이다. 그런데 발생이 뭐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이 번식한다면 쉽다. 발생이 뭐냐고? 그건 미생물에게 물어봐. 문제를 떠넘기면 된다. 그런데 자연발생설로 가면 발생론이라는 새로운 과학과 철학이 태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거야? 발생의 메커니즘이 뭐야? 이거 대박이다. 창조설 찜쪄먹고 진화론 압도하는 새로운 학문으로 발생학이 등장해 주시는 거다. 그런데 왜 아무도 자연발생설을 뒷받침하는 발생론을 논하지 않는가?


    언어가 과학에 앞선다는 말은 이런 의미다. 얼버무리기 없다. 인간들이 말을 애매하게 한다. AI 하는 사람들이 창발이라는 단어를 쓴다. 그런데 창발이 뭐지? 뜻을 알고 쓰는 사람은 없다. 비겁한 짓이다. 이런 것을 끝까지 물고 늘어져야 한다. 말을 똑바로 하라는 공자의 정명사상에서 배워야 한다.


    어떤 사람이 혼자 길을 간다면 지구와 대칭이다. 두 사람이 함께 간다면 옆사람과 대칭이다. 대칭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대칭이 자리를 바꿨다. 창발은 자리바꿈이다. 무에서 유가 출현한 것이 아니라 숨어 있던 것이 드러난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자리바꿈이고 방향전환이다.


    변화는 계를 중심으로 일어난다. 계 내부에 밸런스가 있다. 그것은 갑자기 개입한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서 창발이라는 말을 한다. 창발은 계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다가 뒤늦게 알아채는 것이다. 자연의 모든 변화는 밸런스의 재조립이다. 창발은 기존에 없던 다른 형태의 밸런스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생겨난 것이 아니라 복제된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밸런스의 격발에 의해 존재는 기능을 획득한다.


    격발 이전에 전달이 있다. 발생론을 쓰려면 먼저 전달론을 써야 한다. 전달은 대칭을 따라간다. 첫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이 발생이라면 두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은 발생한 기능의 전달이다. 도미노가 둘이면 전달과 발생이 구분된다. 창발은 전달과 발생의 구분이다. 불을 켜는 것이 발생이면 불이 옮겨붙는 것은 전달이다. 인류의 대부분의 착오가 발생과 전달을 헷갈린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924
6242 강금실 장관에 거는 기대 김동렬 2003-02-28 14654
6241 신라시대의 상속문제 김동렬 2003-03-01 13842
6240 라디오21 칼럼 김동렬 2003-03-03 15300
6239 오명을 창밖으로 던져버릴 수도 없고 image 김동렬 2003-03-04 13880
6238 조선일보 특집 국민 43프로 안티조선 지지한다 image 김동렬 2003-03-05 13936
6237 개혁당은 끝났다. 김동렬 2003-03-06 13826
6236 노무현은 약한 모습 보이지 말라 image 김동렬 2003-03-07 14720
6235 검찰청 영감들 간이 배 밖으로 나왔구나 image 김동렬 2003-03-07 15054
6234 국민을 울게하지 말라! 검사새끼들아. 김동렬 2003-03-09 14531
6233 개그콘서트가 성공한 진짜 이유 김동렬 2003-03-10 14180
6232 씹새발굴은 계속되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3-03-11 17283
6231 직관력은 패턴읽기다 image 김동렬 2003-03-12 15613
6230 문제의 H양 image 김동렬 2003-03-13 15619
6229 한나라당 강아지를 다루는 방법 김동렬 2003-03-14 14325
6228 상생의 정치 좋아하네! 농담하자는 거냐? image 김동렬 2003-03-15 17278
6227 진중권이 서프를 건드는 방식에 대해서 김동렬 2003-03-17 12749
6226 [파병반대] 대한민국이 만만한 홍어※이냐? image 김동렬 2003-03-18 13858
6225 노무현과 호남정치 문제있다. image 김동렬 2003-03-19 16028
6224 걸프전 문답 김동렬 2003-03-19 18152
6223 나무 image 김동렬 2003-03-20 15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