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77 vote 0 2023.01.27 (12:50:38)

     세상은 변화의 집합이다. 변화로 모두 설명된다. 그러나 인류는 그동안 변화를 규명하지 않았다. 우리가 변화로 아는 것은 대부분 이미 일어난 변화의 중간 전달이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는 것은 변화가 아니다. 태양이 바람을 데워서 팽창시키고 중력이 물을 잡아당기는 것이 변화다.


    우리는 원인과 결과의 논리로 변화를 설명하지만 틀렸다. 인과율은 이미 일어난 변화의 전달만 해명한다. 우리는 사건의 원인 단계에서 결과가 미리 결정되어 있다고 믿는다. 틀렸다. 결정론의 오류는 변화의 중간 전달을 변화 그 자체로 착각한 것이다. 인류는 변화를 탐구한 적이 없다.


    도미노가 연속적으로 쓰러지는 것은 변화가 아니다. 최초에 가만 있는 도미노를 쓰러뜨린 것이 변화다. 우리가 현실에서 하는 일은 대부분 이미 일어난 변화의 중간 전달이다. 그러나 인생에 한 번은 최초 격발의 문제를 만나게 된다. 그럴 때 인간은 당황하고 주변의 도움을 구하게 된다.


    첫 만남, 첫 등교, 첫 키스, 첫 소풍, 첫 시합과 같이 처음 일어난 일은 잊지 못한다. 그럴 때 인간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허둥댄다. 다행히 부모와 선배가 챙겨주므로 위기를 넘긴다. 그러나 인생에 한 번은 혼자 고독하게 변화의 최초 격발과 대면하는 곤란한 상황을 만나고 좌절하게 된다.


    모든 것이 변화다. 그런데 우리는 변화를 모른다. 우리가 물질이라고 믿고 의지하는 것은 변화의 중간 전달자에 불과하다. 성질이 존재의 본래 모습이다. 성질은 궁극적으로 밸런스의 복원이다. 변화는 밸런스 갈아타기다. 모든 변화는 둘의 자리바꿈이다. 변화를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275
6224 영화 타이타닉에 대해서 김동렬 2023-03-08 2302
6223 인류는 여기까지 김동렬 2023-03-07 2471
6222 인간훈련 1 김동렬 2023-03-06 2813
6221 허무주의에 대하여 김동렬 2023-03-05 2441
6220 진리의 문 김동렬 2023-03-04 1925
6219 이념은 없다 김동렬 2023-03-03 2058
6218 이재명 문재인 그리고 1 김동렬 2023-03-02 2749
6217 진리의 부름 김동렬 2023-03-01 2012
6216 질서 김동렬 2023-03-01 1898
6215 행복한 사람의 죽음 김동렬 2023-02-28 2289
6214 제주도사람과 호남사람 김동렬 2023-02-26 2415
6213 무지의 지 김동렬 2023-02-24 2049
6212 카타고와 인공지능 혁명 1 김동렬 2023-02-24 2106
6211 카테고리 김동렬 2023-02-22 2024
6210 체계를 찾아라 2 김동렬 2023-02-21 2198
6209 엔트로피 2 김동렬 2023-02-20 1905
6208 파천황 김동렬 2023-02-19 2083
6207 엔트로피의 이해 1 김동렬 2023-02-17 2858
6206 구조충격 1 김동렬 2023-02-16 1932
6205 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 김동렬 2023-02-1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