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67 vote 0 2023.01.27 (12:50:38)

     세상은 변화의 집합이다. 변화로 모두 설명된다. 그러나 인류는 그동안 변화를 규명하지 않았다. 우리가 변화로 아는 것은 대부분 이미 일어난 변화의 중간 전달이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는 것은 변화가 아니다. 태양이 바람을 데워서 팽창시키고 중력이 물을 잡아당기는 것이 변화다.


    우리는 원인과 결과의 논리로 변화를 설명하지만 틀렸다. 인과율은 이미 일어난 변화의 전달만 해명한다. 우리는 사건의 원인 단계에서 결과가 미리 결정되어 있다고 믿는다. 틀렸다. 결정론의 오류는 변화의 중간 전달을 변화 그 자체로 착각한 것이다. 인류는 변화를 탐구한 적이 없다.


    도미노가 연속적으로 쓰러지는 것은 변화가 아니다. 최초에 가만 있는 도미노를 쓰러뜨린 것이 변화다. 우리가 현실에서 하는 일은 대부분 이미 일어난 변화의 중간 전달이다. 그러나 인생에 한 번은 최초 격발의 문제를 만나게 된다. 그럴 때 인간은 당황하고 주변의 도움을 구하게 된다.


    첫 만남, 첫 등교, 첫 키스, 첫 소풍, 첫 시합과 같이 처음 일어난 일은 잊지 못한다. 그럴 때 인간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허둥댄다. 다행히 부모와 선배가 챙겨주므로 위기를 넘긴다. 그러나 인생에 한 번은 혼자 고독하게 변화의 최초 격발과 대면하는 곤란한 상황을 만나고 좌절하게 된다.


    모든 것이 변화다. 그런데 우리는 변화를 모른다. 우리가 물질이라고 믿고 의지하는 것은 변화의 중간 전달자에 불과하다. 성질이 존재의 본래 모습이다. 성질은 궁극적으로 밸런스의 복원이다. 변화는 밸런스 갈아타기다. 모든 변화는 둘의 자리바꿈이다. 변화를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93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547
6228 플라잉카의 마이너스 1 김동렬 2019-11-18 2577
6227 감각과 예측 김동렬 2023-12-30 2579
6226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580
6225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1-12-02 2580
6224 구조론과 엔트로피 image 김동렬 2020-12-27 2582
6223 자궁과 도구 1 김동렬 2021-11-26 2582
6222 양향자의 배신 1 김동렬 2022-04-27 2582
6221 넌센스 정국 2 김동렬 2022-05-22 2582
6220 열쇠와 자물쇠 김동렬 2022-06-16 2582
6219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2-11-22 2584
6218 창발주의 등판 1 김동렬 2020-08-18 2585
6217 원론과 공자 합리주의 김동렬 2022-12-26 2589
6216 인간의 실패 김동렬 2023-01-01 2589
6215 협살에 걸렸다 김동렬 2023-09-11 2589
6214 호남 가서 약자혐오 이준석 1 김동렬 2024-02-01 2589
6213 인류의 진화 1 김동렬 2022-10-20 2590
6212 오은영 원리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3-07-21 2590
6211 도구가 있어야 한다. 2 김동렬 2020-08-27 2592
6210 철학 변화 간섭 기능 권력 김동렬 2022-10-27 2592
6209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1-06-27 2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