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32 vote 0 2023.01.13 (10:59:49)

    나무를 짜맞춰 집을 지을 때 마지막 귀퉁이는 맞출 수 없다. 약간 헐겁게 해서 억지로 끼워넣어야 한다. 조립식 장난감이라도 마찬가지다. 최소 부품 한 개는 본드로 붙이거나 나사를 조여야 하는 일이 생긴다. 완벽하지 않다.


    실내에 좌석을 꽉 채우면 안 되고 최소 한 칸은 비워놔야 한다. 중간에 화장실 간다는 사람 나온다. 어떤 구조물이든 통로문제 때문에 완전효율을 달성할 수 없다. 항상 여유분이 있어야 하고 약간의 손실은 감수해야 한다.


    게는 속으로 살이 찐다. 살이 꽉 차면 곤란해진다. 게는 허물을 벗을 때가 취약하다. 식물의 성장도 모순이 있다. 나무의 속은 생물학적으로 죽어 있다. 껍질도 해마다 갈라져서 땅에 떨어진다. 일부의 손실을 피할 수 없다.


    생물의 진화는 원핵과 진핵, 단세포와 다세포, 겉씨식물과 속씨식물, 단성생식과 양성생식, 체외수정과 체내수정을 거치며 단계적으로 일어난다. 대개 구조문제를 해결하려고 껍데기를 씌웠다가 덧나서 일이 커진 것이다.


    컴퓨터에서 나는 열을 완벽하게 잡는 방법은 원리적으로 없다. 에너지는 안으로 들어갈 수는 있어도 되돌아나가는 일이 없다. 들어간 에너지는 다른 에너지로 밀어내야 하는데 밀어내려고 들어간 에너지가 또 남아 있다.


    일을 하다보면 마지막 한 개가 남아서 말끔하게 해결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빗자루로 바닥을 쓸어도 그렇다. 마지막에 남은 먼지는 걸레로 닦아야 한다. 반드시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것이 우주의 근본문제다.


    세상 모든 문제가 이 하나의 모순에 의해 일어난다. 방향충돌이다. 생물의 생장은 안에서 밖으로 커지는 방향인데 에너지는 밖에서 안으로 좁혀지는 방향이다. 건물을 지어도 밖으로 커지는데 자재는 안으로 들어온다.


    무언가 하려면 반드시 이 문제에 부딪힌다. 구조문제는 원리적으로 해결이 안 되지만 문제를 완화시켜서 적당히 넘어가는 방법은 있다. 그것은 진보다. 진보와 진화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지만 잠시 시간을 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1032
6646 구조론의 초대 김동렬 2022-07-07 1730
6645 노무현을 죽여라 김동렬 2024-04-12 1730
6644 국힘당의 멸망공식 1 김동렬 2024-04-03 1732
6643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734
6642 신의 진화 김동렬 2023-11-15 1740
6641 주체의 사상 김동렬 2024-01-30 1744
6640 에너지의 세계 김동렬 2022-06-25 1748
6639 연결 김동렬 2023-01-19 1748
6638 백마 타고 오는 사람 1 김동렬 2023-11-24 1756
6637 윤석열의 총선반성 뻥이야. 김동렬 2024-04-16 1760
6636 염경엽 야구의 해악 김동렬 2023-11-14 1763
6635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2-18 1765
6634 문명과 야만의 차이 1 김동렬 2023-11-10 1767
6633 존재의 핸들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4-26 1769
6632 김건희의 뇌물공화국 김동렬 2024-02-22 1770
6631 클린스만의 명암 김동렬 2023-11-20 1771
6630 총선 총평.. 구조론이 옳다 김동렬 2024-04-11 1773
6629 방향과 압박 김동렬 2023-11-09 1782
6628 세상은 변화다 김동렬 2023-01-27 1785
6627 함흥차사 인요한 김동렬 2023-11-05 1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