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55 vote 0 2011.02.14 (19:13:36)


양아치 , 장사치, 벼슬아치, 구실아치, 갇바치, 

흥정바치, 반빗아치, 이치, 저치  등에 보이는 우리말 치의 기원은 


몽고어, 돌궐어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그것이 반드시 몽고에서 유래했다고 본다면 곤란하다.


하여간 몽고어로는

코르치..화살담당

올도치..칼담당

고로치..새담당

바르스치..표범담당

자를릭치..고급문서담당

비칙치..하급문서담당

바오르치..요리담당

커덜치..종말담당

발라가치..성문담당.

다라치..술담당

올라가치..역마담당

모린치..말담당

수크르치..옷담당

켈레메치..통역담당

코닌치..양떼담당

구유치..개담당

카라치..암말담당

다루가치..총독


마루치..마루담당

아라치..아라담당


우리말 존칭 지와 관계있을지 모르지만 몽고의 영향 혹은 교류가 있었던 것은 확실.



#1 -아치 #2 , 工匠 #4 바치 #7 바치#% 字會 中;3 #7 , 바치#% 三國史 卷五, 羅紀五, 善德王 #8 양주동(1970), 증보 고가연구$ 일조각 &488 0 신은경 961021

 

<- 확실하지 않지만 우리나라에서 어원 연구한 박사들 중에 이같은 사실을 알아낸 사람은 아직 없는듯.

<- 아치 바치를 단순 공장노동자로 보는듯.

<- 몽고어도 검토 안 하고 어원연구를 하고 있다는 건가?

 

 


프로필 이미지 [레벨:2]미친거북이

2011.02.14 (21:54:39)

은어로 쓰이던 <깔치> (흠흠.. 죄송)도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2.14 (22:52:15)

연관성은 있지만 원래 치는 직업입니다.

양아치-> 동냥아치-> 거지

이치, 저치-> 치가 많이 쓰이다 보니 가져다 붙인 말

깔치-> 바닥에 깐다는 뜻으로 범죄자들이 빵에서 간수가 못 알아먹게 하려고 쓰는 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95
2006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357
2005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354
2004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330
2003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30
2002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314
2001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11
2000 척력. 2 아제 2010-07-14 7289
1999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280
1998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272
1997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250
1996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249
1995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248
1994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247
1993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225
1992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05
1991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188
1990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182
1989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166
1988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160
1987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