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84 vote 0 2022.12.09 (11:03:09)

    차례로 뺨이 예뻐지고, 가슴이 예뻐지고, 엉덩이가 예뻐지는게 아니다. 어떤 사피엔스는 뺨만 예쁘고, 어떤 사피엔스는 가슴만 예쁘고, 어떤 사피엔스는 엉덩이만 예쁜 것은 아니다. 그냥 호르몬이 증가한다. 하나의 호르몬으로 전부 결정한다. 물론 개인차는 있다.


    이러한 특징은 인간이 아닌 동물에게도 관측된다. 까부는 아기가 있는 것처럼 까부는 염소도 있고 까부는 망아지도 있다. 인간에게 나타나는 모든 특징이 동물에게도 잠복되어 있다. 선택된 것이 아니라 세팅된 것이다. 인간은 돼지보다 체지방이 더 많은 동물이다.


    낙타는 등에 기름을 저장하고 사람은 엉덩이에 지방을 저장한다. 낙타는 사막에 적응한 동물이고 인간은 건조한 사헬지대에 적응한 동물이다. 낙타는 한 달 동안 물을 먹지 않고 살 수 있다. 사피엔스 조상으로 알려진 코이산족 사냥꾼이 이동할 때는 한 달을 굶는다.


    음식을 먹으면 소화시킬 물이 필요하므로 음식을 전혀 먹지 않는다. 인간에게는 겨울잠 유전자가 있다. 겨울 동안 잠만 자고 거의 먹지 않는 인디언 부족이 있다. 겨울에도 음식을 먹자 부족의 반이 당뇨병에 걸렸다고. 곰도 동물원에서 키우면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원숭이도 사헬지대에 살며 지방을 저장하여 체지방이 증가하면 사람처럼 예뻐질 수 있다. 인간도 식량이 부족하면 겨울잠을 잘 수 있다. 곰도 식량이 풍족하면 겨울잠을 거부한다. 선택의 결과라는게 사실은 환경에 맞춰서 기능이 잠복하거나 혹은 발현된 것이다.


    코이산족은 대머리가 없다. 네안데르탈인 피가 섞인 유럽인이 대머리가 많다는 설이 있다. 코이산족은 여러모로 아시아인과 비슷하다. 옷을 입으면 피부색도 아시아인과 같다. 선탠을 해서 검을 뿐 실제로 검지 않다. 검은 피부는 세균이 많은 정글에 적응한 결과다.


    일본인이 한국인보다 피부가 검은 이유는 비가 많이 내리기 때문이다. 더위 때문이 아니다. 인체의 면역기능이 바이러스와 햇볕을 같은 적으로 보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없고 햇볕이 부족한 곳에 살면 피부가 희게 변한다. 과학은 우연이 아닌 필연을 추적해야 한다.


    선택은 동사다. 우연이다. 어쩌다 그렇게 된 것이다. 결과론이다. 과학은 원인론이라야 한다. 나쁜 놈도 계기가 주어지지 않으면 나쁜 짓을 하지 않는다. 도박 유전자가 있는 사람이 우연히 정선 카지노에 들렀다가 도박중독자가 된다. 카지노에 들른 것은 우연이다.


    유전자가 잠복하고 있다면 필연이다. 나처럼 담배맛을 못 느끼는 사람은 절대 애연가가 되지 않는다. 필연성도 있고 우연성도 있다면 과학은 그중에서 필연을 중심으로 설명해야 한다. 양파껍질을 한 겹 더 벗기면 필연을 만나게 된다. 대충 얼버무린다면 곤란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004 전부 연결되어 있음 김동렬 2024-09-08 5478
7003 0의 완성 김동렬 2024-09-08 4911
7002 구조의 눈 김동렬 2024-09-07 4892
7001 권력과 현찰 1 김동렬 2024-09-06 4649
7000 인간과 비인간의 차이 1 김동렬 2024-09-06 4648
6999 방향전환을 못한다 김동렬 2024-09-05 4793
6998 친일파는 친일파가 아니다 김동렬 2024-09-05 4453
6997 뒤늦게 문까 1 김동렬 2024-09-04 5128
6996 이승만과 박정희의 말로 김동렬 2024-09-03 4728
6995 구조론의 발견 김동렬 2024-09-02 9998
6994 구조론은 쉽다 7 김동렬 2024-09-02 4494
6993 교육만능주의 질병에 대한 고찰 김동렬 2024-09-01 5436
6992 살아가는 이유 김동렬 2024-09-01 4545
6991 직관으로 판단하기 김동렬 2024-08-31 5412
6990 정치와 전쟁 김동렬 2024-08-31 4429
6989 방시혁과 민희진의 대화불통 김동렬 2024-08-30 4537
6988 왜 사는가? 김동렬 2024-08-29 4856
6987 무와 유의 차이 김동렬 2024-08-28 4078
6986 어리석은 방시혁 김동렬 2024-08-28 4608
6985 일본인의 왜소지향 한국인의 감성지향 1 김동렬 2024-08-27 4599